‘이장석 영구실격 언제쯤?’ 넥센, 구체적 추가 제재 필요

입력 2018-11-03 12:06

정운찬 KBO 총재는 지난달 23일 국정감사 증인으로 출석해 이장석 전 넥센 히어로즈 대표의 영구 실격 문제에 대해 언급했다.

정 총재는 “KBO 상벌위원회에서 이 전 대표에 대한 영구실격을 제안했다”며 “그러나 지금 가을잔치중이고, 넥센은 잔치에 참가하고 있는 만큼 넥센의 포스트시즌 최종 결과가 나온 후 발표하려고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개인의 사유재산은 인정해야 한다”며 “하지만 자격이 없는 사람이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넥센에 대해 어떤 조치를 취할지를 KBO에서 논의중”이라고 덧붙였다.

넥센은 지난 2일 SK 와이번스와의 플레이오프 5차전에서 명승부를 펼쳤지만 아쉽게 가을 잔치를 끝마쳤다.

이로써 정 총재가 언급한 이 전 대표 영구실격 발표 시기가 됐다. 그러나 KBO의 기존 관례상 곧바로 발표가 이뤄질 것 같지는 않다. 넥센 히어로즈의 메인스폰서 변경 논의가 진행중이라는 상황도 고려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탓에 빨라야 두산 베어스와 SK의 한국시리즈가 끝난 뒤에나 발표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다 정 총재의 발언을 살펴보면 걱정이 없는 것도 아니다. “개인의 사유재산은 인정해야 한다”는 정 총재의 발언이 마음에 걸린다. 이 전 대표의 영구실격 조치가 과연 제대로된 효력을 발휘할수 있을지 의문이다.

실제로 KBO가 최대주주인 이 전 대표의 구단 운영 참여를 막을 실질적인 방안이 없다. 향후 뒷돈 현금 트레이드가 이뤄져도 이 전 대표의 관여 여부를 KBO 차원에선 알수 없는 한계가 존재한다.

그러기에 정 총재가 언급한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 넥센 구단에 대한 구체적인 제재가 뒤따라야 하는 것이다. 이 전 대표 영구실격이라는 효과없는 상징적 발표보다는 미신고 현금 트레이드를 근본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방안과 함께 넥센에겐 구체적인 엄중한 책임을 물어야 하는 것이다. 또다시 유야무야 넘어간다면 야구팬들은 KBO의 존재 이유를 다시 묻게될 것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