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31일 “경찰의 유례없는 ‘여론 호도’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어 위험 수위에 치닫고 있다”며 김용 대변인 명의로 경찰의 수사행태에 유감을 표하는 성명을 냈다.
김 대변인은 “경찰은 변호사 출신 전문 수사 인력 4명을 포함한 30여 명의 초대형 특별수사단을 구성하고, 6개월 동안 집중 수사했다”며 “아무런 혐의점을 발견하지 못했다면 무죄이고, 유무죄를 판단할 수 없으면 무죄 추정의 원칙인데 경찰은 ‘유죄 추정’의 비정상적, 비상식적 행태로 여론을 호도하고 있다”라고 거세게 경찰 수사를 비난했다.
그 예로 “‘여배우 스캔들’의 불기소 처분 이유를 ‘혐의없음’이 아닌 ‘경찰 이관’이라고 둘러대는 것이 대표적”이라고 주장했다. 수사 진행 상황을 중계하듯 언론에 알린 것과 서면 답변을 활용한 것을 조사 거부라 왜곡한 것도 여론을 호도한 것이라 덧붙였다.
앞서 지난 29일 이재명 지사는 10시간여 동안 성남 분당경찰서에 조사를 받았다. 이후 ‘여배우 스캔들’을 검찰이 직접 수사한다는 일부 언론 보도에 분당경찰서는 “사실무근”이라고 밝힌 바 있다.
김 대변인은 “경찰은 수사기관이지 정치조직이 아니다. 경찰이 무죄 추정 원칙을 정면으로 위배해 정치적 논란을 제공하고 여론을 호도하는 정치 행위를 하고 있다”며 “혹시 거짓으로 여론을 호도하는 것을 고도의 수사기법이라고 생각하는 건지 경찰에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는 “일부 경찰의 이런 모습은 촛불 혁명으로 탄생한 문재인 정부의 노력을 심각하게 훼손하고 있다”며 “촛불로 탄생한 정부의 경찰에 걸맞도록 공정한 수사가 이뤄지길 다시 한번 촉구 한다”라고 성명을 마쳤다.
이슬비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