핼러윈(Halloween)은 매년 10월 31일 미국 전역에서 다양한 모습으로 변장하거나 독특한 복장을 입고 즐기는 축제다. 아이들은 이웃집을 찾아다니며 ‘트릭 오어 트릿(Trick or treat)’을 외친다. ‘과자를 안 주면 장난칠 거야’라고 귀엽게 ‘협박’하면 간식을 얻을 수 있다.
서구권의 축제로만 여겨졌던 핼러윈은 최근 몇 년 사이 우리나라로 유입돼 유행처럼 번졌다. 10월 말이면 기괴하게 분장한 사람들을 서울 도심 곳곳에서 어렵지 않게 볼 수 있다. 놀이공원·쇼핑몰에서 핼러윈 분위기가 고조되고, 외국인의 왕래가 많은 이태원에서 매년 요란한 축제가 열린다.
1. 핼러윈의 어원
핼러윈의 어원은 만성절 전야제를 뜻하는 ‘올 핼러스 이브’(All Hallows’ Eve)의 줄임말로 추정되고 있다. 만성절을 직역하면 ‘모든 성인(聖人)의 대축일’. 유럽의 일부 기독교인들이 순교한 성인의 기념일로 지정한 11월 1일이다.
핼러(hallow)는 앵글로색슨어로 성인을 뜻한다. ‘윈(e’en)’은 전날 또는 밤을 뜻하는 ‘이브(eve)’의 축약형이다. 만성절 전야를 핼러윈의 어원으로 보는 의견에 무게가 실리는 이유다. 일부 영어권 국가에선 만성절이 ‘핼러스’(Hallows)보다 ‘세인츠’(Saints)라는 표현으로 사용되고 있다.
2. 핼러윈 축제의 유래
핼러윈은 아일랜드에 정착한 고대 켈트족의 축제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고대 켈트족은 1년을 10개월로 분할했다. 현재 세계적으로 사용되는 그레고리력, 즉 양력은 1년을 12개월로 분할한다. 켈트족에게 10월 31일은 연중 마지막 날이었다. 매년 이날이 돌아오면 새해를 준비하는 축제를 벌였다.
고대 켈트족은 망자의 영혼이 이날을 골라 인간 세계로 찾아온다고 생각했다. 문 앞에 음식과 술을 놓으면 영혼이 집 안으로 들어오지 않는다고 믿었다. 또 영혼과 비슷한 모습으로 분장해 착각하게 만들면 자신을 보호할 수 있다는 믿음도 있었다. 고대 켈트족 연말 축제의 독특한 풍경을 핼러윈 분장의 시초로 보는 근거는 여기에 있다.
기독교가 켈트족에게 전파된 뒤 이 축제는 만성절 전야에 열렸다. 연말 축제가 만성절 전야 행사로 성격을 바꾼 셈이다. 기독교가 미주·오세아니아로 전파된 흐름을 따라, 핼러윈도 세계 곳곳으로 퍼진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3. 세계인의 축제로 자리 잡은 핼러윈
핼러윈 축제는 18세기 중반까지 유럽에서 미국으로 이주한 스코틀랜드·아일랜드 이민자를 중심으로 열렸다. 당시만 해도 소규모 행사였다. 이주민 집단은 핼러윈마다 한 해의 수확을 축하하고 세상을 먼저 떠난 가족·이웃을 추모했다.
핼러윈이 본격적으로 미국 전역에 퍼진 시기는 19세기 중반이었다. 1840~1850년 사이 대기근에 휩싸인 아일랜드인 약 100만명은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들이 미국 곳곳으로 스며들면서 핼러윈 문화를 급속도로 전파했다.
그 뒤부터 핼러윈이 돌아오면 미국의 집집마다 호박에 사람의 이목구비를 조각한 등이 전시됐다. 이 등은 ‘잭오랜턴(Jack-O’-Lantern)’으로 불린다. 이웃집을 돌아다니며 간식을 받는 아이들의 ‘트릭 오어 트릿’은 핼러윈을 대표하는 풍경이 됐다. 미국의 거리 곳곳에서 기괴하게 분장한 사람들이 퍼레이드를 벌이기도 한다.
핼러윈은 20세기 들어 영국을 비롯한 유럽·남미로 전파됐다. 유럽의 켈트족으로부터 시작된 핼러윈 문화는 정작 미국식 문화로 널리 퍼져나갔다. 지금은 아시아·아프리카 등 비서구권 국가에서도 핼러윈 축제를 즐기고 있다.
국민일보 더피플피디아: 핼러윈
더피플피디아는 국민(The People)과 백과사전(Encyclopedia)을 합성한 말입니다. 문헌과 언론 보도, 또는 관련자의 말과 경험을 통해 확인한 내용을 백과사전처럼 자료로 축적하는 비정기 연재입니다.
강문정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