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원도심 역세권 사업지역, 주거복합건물 용적률 대폭 완화

입력 2018-10-30 14:58

대전 역세권 사업지역 내 주거복합건물 용적률이 대폭 완화될 전망이다.

대전시는 30일 ‘대전드림타운’ 3000호 공급 추진과 관련해 역세권 상업지역 내 주거복합건물 용적률 완화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대전은 향후 원도심 역세권을 중심으로 ‘용도용적제’가 완화될 전망이다. 용도용적제는 용도의 혼합률에 따라 용적률을 차등하는 제도다.

용도용적제가 완화되는 상업지역은 원도심을 통과하는 대동역, 대전역, 중앙로역, 중구청역, 서대전역, 오룡역, 용문역 역세권 지역과 대전복합터미널 주변지역이다.

단 용적률 완화는 개발시 발생하는 이익금 일부를 공공에 제공해야만 적용받을 수 있다.

이는 완화된 용적률로 증가한 이익금의 50% 이하를 공공에 기여하되, 완화용적률 중 25% 이상은 소형주택(60㎡ 이하)으로 기부채납하는 방법이 있다.

또 소형주택의 25% 미만은 시에서 매입하거나, 민간제안자가 8년 이상 임대 후 분양하는 방법도 있다는 것이 시의 설명이다.

시는 이번 용도용적제 완화를 통해 민간 건설경기가 1조3000억원 규모로 활성화되고 생산파급 효과는 1조5000억원, 3만1000명에 달하는 취업유발·고용효과가 발생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용도용적제 완화는 단순히 상업지역 내 건물의 용적률을 변화시키는 것이 아니라 청년들의 주거 문제 해소, 원도심 활성화에도 기여하는 것이 목표”라며 “궁극적으로 대전의 원도심 활성화와 지역 경제 활성화의 밑그림이 되는 작업”이라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