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택진 엔씨소프트 대표가 자사 대표 게임 ‘리니지M’의 사행성 논란에 대해 “확률형 게임은 아이템이 가장 공정하게 이용자들 사이에서 나눠지는 기술적인 장치”라고 발언했다.
김 대표는 29일 열린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국정감사에 일반증인으로 출석해 “‘리니지M’의 확률형 아이템은 사행성을 유도하지 않는다”면서 이 같이 밝혔다.
김 대표를 증인 신청한 손혜원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리니지M’ TV광고에서 확률형 아이템 뽑기에 실패해 좌절한 이용자에게 쿠폰을 주는 장면을 언급하며 “노름판의 개평”이라고 꼬집었다. 손 의원은 “벨기에는 지난해 확률형 아이템을 도박으로 지정했다. 유럽에서도 확률형 아이템을 사행성으로 보고 규제를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김 대표는 “‘리니지M’의 확률형 아이템은 부분 유료화의 일환”이라고 해명했다. 그는 “도박은 금품을 걸고 게임을 하는 것이다. ‘리니지M’은 요행을 바라고 금품을 취득하지 않는다. 아이템은 게임을 위한 아이템일 뿐”이라고 부인했다.
손 의원은 “게임산업은 진흥되어야 하지만 여기서 생각하지 못한 폐해가 유저에게 돌아간다면 우리나라도 어느 정도는 규제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모바일게임도 (PC) 온라인게임 만큼의 규제를 따라야 한다”고 덧붙였다.
조경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김 대표에게 확률형 아이템이 엔씨소프트 전체 수익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물었다. 김 대표는 “통계를 내지 않고 있다”면서 대답을 회피했다. 조 의원은 “청소년이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사행성에 빠지고 있다. 동의하는가”라고 묻자 김 대표는 청소년 보호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했다.
조 의원이 확률형 아이템을 로또와 비유하자 김 대표는 “여러 우려를 알고 있지만 로또와 비교한 부분은 조금 잘못된 것 같다”고 반박했다.
김 대표는 “청소년 보호는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된다고 본다. 모바일 게임에서 청소년 결제 한도 문제를 적극 검토해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약속했다.
다만 “청소년 보호는 게임회사 혼자서 해결할 수 없다. 모바일게임의 경우 구글의 앱스토어 같은 중간 결제 단계가 있다. 청소년 보호 장치는 게임사뿐 아니라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의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다니엘 기자 dn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