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명균 “탈북기자 취재 제한, 차별·언론침해 아냐”… 진짜 이유는

입력 2018-10-29 14:02
조명균 통일부장관. 뉴시스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최근 ‘탈북 기자 취재 제한’ 논란을 두고 “해당 기자를 보호하기 위한 조치였다”고 말했다.

조 장관은 29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통일부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이정현 무소속 의원이 “이번 사건은 탈북민에 대한 차별, 언론 자유 침해로 봐야하지 않겠느냐”고 말하자 이 같이 해명했다.

앞서 통일부는 15일 판문점 평화의 집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 회담을 앞두고 풀기자단에 포함됐던 탈북민 출신 김명성 조선일보 기자를 명단에서 제외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탈북만 차별과 언론자유 침해 논란을 불러왔다.

이 의원은 이날 “탈북민도 엄연한 대한민국 국민이다. 탈북민에 대한 차별, 언론자유 침해”라고 꼬집었다.

조 장관은 “그렇게 비치는 면이 있다”고 인정하면서도 “탈북민 차별이나 언론자유 침해를 염두에 두고 취한 조치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그는 “해당 기자에게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염두에 둔 불가피한 조치”라고 말했다.

그러자 이 의원은 “북한이 말하기도 전에 스스로 나서서 탈북민 기자를 배제한 것은 미숙한 처리”라며 “이런 선례가 남았기 때문에 북한이 앞으로 이번 사건을 어떤 ‘카드’로 쓰지 않겠느냐”라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 정부가 탈북민의 실체를 인정해야 한다. 자유를 찾아 남측으로 내려온 사람들을 차별해선 안 된다. 작은 사례일지라도 이런 일이 있으면 안 된다”고 강조했다.

조 장관은 “앞으로 이런 상황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