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정부 당시 추진된 경인아라뱃길의 활성화를 위해 인천지역을 중심으로 한강 유람선 운항이 추진되고 있으나 환경단체와 서울시의 반대로 난항을 겪고 있다.
28일 인천시에 따르면 이 문제를 놓고 국무조정실 주관으로 공동용역을 위한 한강민관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해 왔으나 서울시가 확보한 용역비 1억원이 사업지연 탓에 불용 처리되면서 인천시 역시 용역비 1억원을 써보지도 못할 상황에 직면했다.
인천시는 해상교통 활성화와 관광인프라 조성을 위해서는 한강과 아라뱃길을 연계한 유람선 운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한강유람선이 아라뱃길로 들어올 경우 서해갑문을 개방해 덕적도 등 연안도서와 연결하면 지역경제 및 관광 활성화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특히 서울시가 이미 서울지하철 5호선 여의나루역 인근에 선착장을 추진할 의사를 갖고 있는 만큼 환경단체의 입장변화가 있을 경우 유람선 크기를 축소할 용의가 있다는 입장도 피력한 것으로 전해졌다. 유람선 크기 변화에 따른 운항 가능 규모를 확정하고, 서울시에 운항허가 협조를 요청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신곡수중보 철거 시 생태계의 변화 등을 이유로 반대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도 아직까지는 유람선 운행을 반대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환경부는 지난 15일 인천지역 학계 및 시민단체 인사 등 모두 15명으로 ‘경인아라뱃길 기능재정립 공론화위원회’를 구성해 분과별로 활성화 방안 및 기능조정에 대한 논의에 착수했다.
인천시 관계자는 “국무조정실이 주도하고 있는 제7차 한강민관협의체 회의를 통해 유람선 운행에 따른 수생체계 변화용역을 추진하는 방안을 협의하고 있다”며 “동시에 환경부 주관의 공론화위원회에 아라뱃길 관광활성화를 요청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인천=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