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지난 7월 신설한 국정홍보비서관 인선이 석 달째 늦어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대국민 소통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중요도가 높은 자리다보니 후보자들이 부담을 느끼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청와대는 석 달 전 조직개편 당시 기존 홍보기획비서관을 홍보기획비서관과 국정홍보비서관으로 분리했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홍보기획비서관은 국정 전반 홍보를 기획하며 주로 미디어 정책을 다루게 된다. 국정홍보비서관은 정책 홍보를 담당하고 각 부처 홍보 담당자 간 조정을 강화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월 홍보기획비서관에 유민영 전 청와대 춘추관장을 임명했다. 그러나 국정홍보비서관은 여전히 공석이다. 그동안 검증을 거쳐 임명 직전까지 갔던 인사가 있었지만 본인이 고사했다고 한다.
그만큼 국정홍보비서관 자리에 부담을 느끼는 후보자가 많다는 평이다.
청와대 내부에선 문 대통령이 각 부처의 홍보 능력에 대해 회의가 크다는 시각이 많다. 문 대통령은 지난 8월 국민연금 개편 논란이 일자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의 책임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 각 부처는 일을 열심히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민과 적극 소통하면서 국민이 알아야 할 국정 정보를 정확하게 홍보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는 자세로 업무에 임해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국정홍보비서관은 각 정부 부처 간 정책홍보를 조율하고 단일한 메시지를 만드는 역할을 하게 된다. 메시지 혼선을 막고 부처 간 의견을 조화롭게 엮어야 한다. 조직 장악력도 필요하다. 문 대통령의 핵심 측근이었던 양정철 전 비서관도 참여정부 시절 국정홍보 임무를 담당했고, 안봉근 전 국정홍보비서관은 박근혜 정부의 실세로 통했다.
청와대는 이런 자리에 특정 언론사 출신을 뽑을 경우 잘못된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미디어 전문가 선발에 비중을 두는 모양새다. 하지만 마땅한 인재가 없어 애를 먹고 있다고 한다. 현재는 유민영 비서관이 국정홍보비서관 역할까지 겸해 업무를 보고 있지만 과중한 업무로 인해 하루빨리 국정 홍보의 컨트롤 타워를 임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