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시민원탁회의’ 정례화하기로…박승원 시장 “시민이 주인 되는 시민주권시대 열기 위해”

입력 2018-10-26 11:16

경기도 광명시가 시민원탁회의를 조례로 제정해 정례화하기로 했다.


이는 지난 10일 민선7기 출범 100일을 맞아 시민의 의견을 직접 듣고 시정방향과 우선 추진사업을 실현하기 위해 가진 ‘광명시민 500인 원탁토론회’가 다양한 시민들의 의견을 교환할 수 있는 공론화 장이 됐다는 평가에서 나온 산물이다.

광명시는 시민원탁회의 운영 및 지원 조례를 제정해 시민참여 공론화 장을 만들고 토론회를 정례화하기로 했다고 26일 밝혔다.

시는 조례제정을 통해 다양한 생각을 가진 시민들이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도록 하고 시민간의 첨예한 갈등의 요소들을 대화와 토론을 통해 해결을 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또 원탁회의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분야별 전문가를 모집해 20명 이내로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운영위원회에서 추천한 의제 또는 시민 200명 이상 연서로 추천한 의제에 대해 연 2회 토론회를 개최할 계획이다.

원탁회의는 시정의 주요 현안에 대해 시민의 지혜와 의견 수렴을 통해 사회적 합의와 공감대를 이끌어 내는 한편 시정 현안과제, 쟁점사항 등의 발전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된다.

박승원 시장은 “시민이 주인이 되는 시민주권시대를 열기 위해 모든 시정에 시민참여를 제도화하고, 정책제안부터 정책평가에 이르기까지 시민들의 참여를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10일 ‘시민이 답이다’라는 슬로건으로 열린 원탁토론회에는10대에서 70대까지 다양한 계층이 참여했다.

제1토론 ‘2018 현재 광명시의 부족한 점’을 주제로 한 토론에서는 ‘교통체계 개선’(20.1%이 가장 부족한 점으로 뽑혔다.

다음으로 ‘부동산 정책 안정’(13.7%), ‘교육지원 강화’(11.8%), ‘문화예술·생활체육 인프라’(11.3%), ‘생애주기별 복지가이드 고도화’(9.8%) 순이었다.

제2토론 ‘광명시 발전방안’을 주제로 한 토론에서는 ‘도시재생과 도시개발’(30%)이 가장 높았다.

이어 ‘문화·여가’(19%), ‘교통·도로 주차’(14%), ‘일자리와 경제’(12%), ‘의료와 복지’(10%) 순이었다.

민선7기 광명시정을 위해 꼭 전달하고 싶은 제안·의견에 대해서는 ‘초심 그대로 살기 좋은 광명 위한 의회·공무원·주민 간 협치 실현’(19.6%)이 가장 높았고, ‘정주의식 높이는 주거환경 조성’(14.9%), 소득주도성장에 부합하는 일자리 정책구현(8.7%), 편리한 교통 시스템 구축(7.3%) 순이었다.

광명=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