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이 공동으로 백두산에 화산활동을 감시하는 관측소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5일 기상청에서 입수한 ‘한반도 신경제지도 구상에 따른 기상·기후·지진 분야 단기 및 중장기 협력과제’ 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은 곧 백두산 화산활동 가능성을 진단하기 위해 남북 공동조사를 추진한다.
자료에 따르면 기상청은 1단계로 지각 움직임을 관측할 수 있는 화산 관측장비와 통신망을 구비해 공동 관측소를 운영할 방침이다. 2단계로는 공동 관측소 내에 땅속 마그마 움직임에 따라 미세하게 변동이 일어나는 지구의 자기장을 측정할 장비와 화산가스 및 암석 시료 분석 시설도 설치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현재 기상청은 위성영상자료를 이용해 백두산 지표 온도와 천지 면적·수위를 분기별로 분석해 변화상을 파악하고 있지만 현지 관측자료 수집에 어려움이 있어 정확한 진단을 내리는 데 어려움이 있는 상황이다.
앞서 2007년과 2011년 개성 등지에서 남북기상협력실무접촉회의와 남북화산대응전문가회의 등이 소집돼 남북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댔지만 남북관계가 악화되면서 백두산 현지 답사조차 실행에 옮기지 못했다.
반면 중국은 1999년부터 백두산에 천지화산관측소를 운영하면서 화산 폭발에 대비해 연구를 활발히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백두산 반경 50㎞ 이내에 지반 움직임을 측정하는 GPS 관측점 16곳, 지진관측소 11곳, 화산가스 측정지점 3곳을 설치해 분화 여부를 살펴보고 있다. 북한도 2011년부터 미국과 유럽 학자들을 초청해 공동연구팀을 만들고 화산활동을 분석 중이다.
설훈 의원은 “기상 분야 업무 격차가 해소되면 자연재해 공동대응 등 상호 이익도 추구할 수 있다”며 “비정치적인 기상 분야에서의 인도적 협력으로 남북의 신뢰 관계도 회복될 수 있다”고 밝혔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