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장성급군사회담 개최… ‘군사공동위’ 11년 만에 구성 논의

입력 2018-10-26 09:41 수정 2018-10-26 13:41
남북 장성급군사회담에 참석하는 남측 수석대표인 김도균 소장(가운데)이 26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 남북회담본부 앞에서 입장을 발표하고 있다. 뉴시스

남북 군 당국이 26일 오전 판문점에서 제10차 남북장성급회담을 개최한다. 지난달 평양에서 남북 정상이 합의한 ‘9월 평양공동선언’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장성급 협의다.

남측 수석대표인 김도균 국방부 대북정책관(육군 소장)은 판문점 출발 직전 서울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기자들과 만나 “‘9·19 군사합의서’ 이행사항에 대해 중간평가를 하고 향후 이행해야 할 사안들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라며 “남북군사공동위원회 구성 및 운영 방안과 한강하구 공동 수로 조사 사안에 대해서도 논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회담의 주목되는 의제 가운데 하나는 군사공동위원회 구성 및 운영 방안 협의다. 남측은 서주석 국방부 차관이, 북측은 인민무력성 서홍찬 제1부상과 김형룡 부상 등이 공동위원장으로 거론된다.

군사공동위는 1992년 ‘남북 군사공동위원회 구성·운영에 관한 합의서’와 같은 해 12월 발효된 ‘남북기본합의서’, 2007년 11월 29일 제2차 남북국방장관회담에서 논의됐다. 남북은 당시 군사공동위 구성·운영 합의서까지 마련했지만 정치적 상황 등으로 실제 구성에는 실패했다.

국방부는 서해 북방한계선(NLL) 문제로 논란이 계속되는 만큼 군사공동위가 꾸려지면 서해 평화수역 및 시범 공동어로구역의 구체적인 경계선 협의·확정 과정에서 이를 정리한다는 방침이다.

이외에도 남북 군 당국은 현재 비무장지대(DMZ)에서 진행 중인 감시초소(GP) 시범철수 진행 상황과 남북 공동유해발굴을 위한 도로개설, 군사분계선(MDL) 일대 군사훈련 중지 문제 등도 논의할 예정이다. 또 미국이 반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MDL 상공 비행금지구역 관련 논의도 이뤄질 전망이다.

최승욱 기자, 공동취재단 applesu@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