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새로운 주거 대안으로 떠오른 사회주택 공급을 확대한다.
서울시는 국토교통부와 함께 사회주택 전용 토지뱅크인 ‘사회주택 토지지원리츠’를 전국 최초로 설립하고 한다고 25일 밝혔다. 내년까지 1200억원을 공동 투자해 청년과 신혼부부 대상으로 사회주택 1200호를 추가 공급한다.
사회주택은 주거 관련 협동조합이나 사회적기업, 비영리법인 등 사회적경제주체가 공공기관으로부터 장기로 임대받은 토지에 임대주택을 건설해 운영하는 방식이다. 청년, 신혼부부 등에게 주로 공급되며 주변 시세의 80% 이하 임대료로 최장 10년간 안정적으로 살 수 있다. 사회주택에는 주거뿐 아니라 카페, 공동세탁실 등 공유 공간이 함께 조성된다.
사회주택은 2015년 전국 최초로 서울시에서 도입됐다. 지금까지 936호(9월 사업자선정 완료 건 기준)가 공급됐고, 50% 가량 입주를 완료했다.
이번에 설립되는 사회주택 토지지원리츠는 서울주택도시공사와 국토교통부 산하 주택도시기금 공동출자(1대2) 방식으로 조성된다. 리츠가 사회주택 건설에 쓰일 토지를 매입한 뒤 사업자인 사회적경제주체에 30년간 저리(연 2%)로 임대해준다.
시는 사회주택 토지지원리츠가 공급하는 토지에 사회주택 사업을 시행할 사회적경제주체를 12월14일까지 공개 모집한다. 세부 공모지침은 서울투자운용 홈페이지와 서울시 사회주택플랫폼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공모에 관심 있는 사회적 경제 주체는 사회주택종합지원센터에 상담을 의뢰할 수 있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지난 22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주택공급 대책에 대한 질문을 받고 “매입형 임대주택, 사회주택 공급을 비롯해 다양한 형식으로 공공임대주택 공급에 중점을 두고 있다”고 대답했다.
김남중 기자 nj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