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이정미 대표가 지난주 한 일회용 생리대에서 라돈이 검출된 것과 관련해 식약처에 생리대 원료 물질 공개 의무화 등을 촉구했다.
이정미 대표는 25일 여의도 국회 정론관에서 ‘끊이지 않는 생리대 논란, 안전대책 강화 촉구 기자회견’을 열고 “식약처는 생리대의 위해성 평가 없이 단순 규격준수 여부만 확인할 뿐”이라며 “생리용품에 사용되는 모든 원료 물질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이 대표와 여성환경연대, 환경운동 연합 등은 “지난주 한 일회용 생리대에서 방사성물질인 라돈이 검출돼 시민들에게 큰 충격을 줬다”며 “라돈은 흡입독성이 있어 폐암을 일으킬 뿐만 아니라 피부흡수를 통한 위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작년 생리대 파동 이후 식약처가 마련한 유일한 대책은 전성분표시제를 실시하겠다는 것이었고 오늘이 생리대 전성분표시제가 시행되는 날”이라며 “그러나 전성분표시제 또한 부실하다. 모든 성분이 아니라 생리대 품목허가증에 기재하는 원료명만 표시하도록 의무화할 뿐”이라고 비판했다.
또 “생리대 전성분표시제는 부직포, 폴리에틸렌필름, 접착제 등 품목허가증에 기재된 원료명만 표시하도록 하고 수백 가지 화학물질로 구성된 향은 단순 향료로 기재할 수 있게 규정하고 있다”면서 “향료에 들어간 개별 성분을 알 수 있도록 모든 원료 물질 공개를 의무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생리대 전성분표시제를 시행해도 화학물질인 향 원료 물질을 공개하지 않으면 반쪽짜리 제도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이 대표는 “환경부가 제출한 일회용 생리대 건강영향조사 예비 결과에 따르면 일회용 생리대를 사용하면 생리통과 가려움증이 증가하는 등 부작용 증상이 나타났다”며 “본조사를 조속히 실시하고 생리대 안전성 대책을 강화하라”고 요구했다.
이현지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