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장전입·다운계약서 인정한 조명래 장관 후보자

입력 2018-10-23 16:39 수정 2018-10-23 16:57

조명래 환경부 장관 후보자는 23일 국회 인사청문회에서 위장전입·다운계약서 작성 등으로 의원들의 집중적인 추궁을 받았다.

시작부터 조 후보자의 부실 자료 제출 문제로 파행을 거듭했던 인사청문회는 오후에서야 정상적으로 진행됐다.

청문회 이전부터 조 후보자는 1994년 장남의 위장전입과 2005년 다운계약서 작성, 아파트 투기 의혹을 받아왔다. 이장우 자유한국당 의원은 “강남 8학군 진학을 위한 위장전입과 다운계약서 작성, 증여세 탈루 등 도덕성 해이가 심각하다”며 “반성할 게 아니라 사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후보자는 위장전입·다운계약서 작성 의혹은 인정했다. 조 후보자는 “당시로서는 충분한 생각을 못 하고 공직 후보자로서는 사려 깊지 못한 행동을 했다”고 말했다. 다만 아파트 매매 후 급히 되판 이유를 묻는 질의에는 “장남이 외교부 인턴을 하다 대학 외교학과에 진학하면서 1년 간 해외로 인턴십을 떠나 집을 살 필요가 없어졌다”고 투기 의혹을 해명했다.

과거 보수당의 대북정책과 이명박 전 대통령을 비판하는 등 SNS 상 발언이 정치적 중립성에 위배된다는 지적도 나왔다. 조 후보자는 “SNS에 과도한 표현이라든가 편향적인 글을 쓴 것 같다”며 “공직 후보자 입장에서 균형감 없이 글을 쓴 것 같아 죄송하다. 앞으로 이런 글을 쓸 때 훨씬 더 중립적이고 사려 깊은 내용을 갖추도록 하겠다”고 답했다.

다만 자신을 ‘폴리페서(polifessor·현실 정치에 적극 참여하는 교수)’라고 비판하는 점에 대해서는 “특정 캠프나 후보를 지지한 기억이 없다”며 “저는 정치보다 정책을 본다”고 반박했다.

여당 의원들은 미세먼지, 마이크로플라스틱 등 현안 정책 질의에 집중했다. 조 후보자는 “플라스틱이 오래되면 마이크로 플라스틱이 발생하기 때문에 플라스틱 사용 자체를 줄이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또 “미세먼지는 사회 재난의 하나라고 생각하고 필요한 보완대책을 적극적으로 발굴해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