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을 안정적으로 시행하기 위해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시도교육청 등 관계기관이 힘을 모은다.
교육부는 23일 국무회의에서 수능 당일 교통과 기상악화 및 지진 대책, 문제지 보안 유지 등 전 분야에 걸친 ‘2019년도 수능 시행 원활화 대책’을 발표했다.
2019학년도 수능은 다음 달 15일 오전 8시40분부터 오후 5시40분까지 전국 1190개 시험장에서 실시된다. 모든 수험생은 수능 당일 오전 8시10분까지 시험장에 입실해야 한다.
우선 시험 당일 시 지역과 시험장이 설치된 군 지역의 관공서, 기업체 등의 출근시간을 ‘오전 9시’에서 ‘10시 이후’로 조정하도록 요청했다. 수험생 등교 시간대를 고려해 지하철이나 버스 운행 횟수를 늘릴 예정이다.
개인택시는 지하철역 또는 버스정류소와 시험장 간 거리에 집중 운행된다. 각 행정기관의 비상운송차량 등을 지역별로 수험생 주 이동로에 배치해 수험생에게 이동 편의를 제공할 계획이다.
또 시험장 근처에 군부대가 있는 경우 수험생의 등교시간인 오전 6시부터 8시10분까지는 이동을 자제해달라고 요청했다. 시험장 200m 전방에서는 대중교통 외 다른 차량의 진·출입을 통제하고, 주차를 금지하는 등 교통통제를 강화할 예정이다. 교통지도도 강화되며, 교통캠페인도 실시된다.
영어영역 듣기평가가 실시되는 오후 1시10분부터 25분간은 소음통제시간으로 설정된다. 항공기와 헬리콥터 등 비행기의 이·착륙, 포 사격과 전차이동 등 군사훈련을 금지한다. 소음통제시간 외에도 시험장 주변 소음으로 인해 수험생들이 영향을 받지 않도록 경적과 비상 사이렌, 생활소음도 최대한 자제해 줄 것을 요청했다.
기상 악화 등 돌발적 기상 상황 발생에 대비하기 위해 시·도별로 수험생을 위한 수송 대책, 강우·강설 등에 대비한 제설 대책, 대체 이동수단 투입계획 등을 마련하도록 했다.
지난해 지진 때문에 수능을 일주일 연기했던 만큼 올해도 그런 상황에 철저히 대비할 계획이다. 시험 당일 지진이 발생하는 것에 대비해 상시 모니터링을 하고, 신속한 지진 정보전달 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시도교육청에서 시험장 배치 시 안정성을 우선 고려하도록 하고, 지진 피해 학교나 내진이 설계되지 않은 학교 등 취약건물의 경우 배치 전 안정성에 대한 정밀점검을 시행하도록 요청했다.
특히 포항지역 시험장에 대해서는 이달 말까지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및 민간 전문가가 합동으로 안전점검을 시행하기로 했다. 그 외 시험장은 시도교육청이 자체 점검한다. 예비소집일에는 감독관과 수험생 대상으로 시험지구별·학교별 여건에 맞게 사전교육·모의훈련 등을 실시해 지진 발생 시 대응 준비를 철저히 하도록 했다.
수능시험 문답지를 수송하기 위해 경찰인력을 지원받아 보안을 유지하고 문답지 인수나 운송, 보관 등 안전관리를 위해 시험지구별로 중앙협력관을 파견할 예정이다.
유은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은 “이번 대책은 관계기관뿐 아니라 국민적 협조가 필요한 사항”이라며 “모든 수험생이 수능 시험을 무사히 잘 치를 수 있도록 국민들의 관심과 적극적인 지원을 바란다”고 말했다.
김나연 인턴기자,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