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과 그 친인척, 임종석 비서실장, 한병도 정무수석 등 청와대 재직 인사를 사칭해 돈을 편취하는 사건이 연일 발생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관련 사례들을 보고받고 “도무지 이해하기 어려운 터무니없는 일이 벌어졌다”며 “대통령과 친인척, 청와대 인사의 이름을 대고 돈을 요구하는 사건이 벌어지면 무조건 사기로 생각하고 신고해 달라”고 지시했다고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이 22일 밝혔다.
조국 민정수석도 이날 브리핑 자료를 내고 현재 수사 진행 중인 사칭 사례들을 소개했다.
한 사기 전과자는 지난해 12월부터 올 1월 사이 평소 지방유지로 알려진 다수에게 문 대통령 명의로 ‘도와달라’는 취지의 가짜 문자메시지를 보냈다. 이를 수신한 피해자 중 한명은 실제 수억원을 보냈다.
임 실장을 사칭한 사례는 2건이다. 또 다른 사기 전과자는 지난해 12월 성동구치소에 같이 소감됐던 A씨의 자녀에게 접근해 “임 실장과 15년째 알고 지낸 사이다. 임 실장이 모친을 사면시켜주는 조건으로 돈을 요구한다”고 속여 3000만원을 편취했다. 지난달에는 “임 실장이 뒤를 봐준다”며 대규모 투자자를 모집한 사례도 있었다.
한 수석의 지인임을 사칭한 사례도 있었다. 이 인사는 “한 수석의 보좌관으로 일했다. 한 수석으로부터 800억원 상당의 리조트를 280억원에 매입할 권한을 받았다”며 5회에 걸쳐 4억원을 편취했다. 이외에도 존재하지도 않는 ‘청와대 공직기강실 선임행정관’을 사칭하여 1억 5000만원을 편취한 사례 등 문재인 정부 들어 6건의 사칭 사례가 발생했다.
조 수석은 “문재인 정부의 청와대는 위와 같은 사례에 전혀 개입된 바 없으며 향후에도 그 어떤 위법사례도 발생되지 않도록 춘풍추상의 자세로 근무기강을 유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만일 불법행위 가담이 조금이라도 확인되는 경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징계 및 수사의뢰 등 단호한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태환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