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자유한국당 의원들이 국정감사 보이콧을 선언한 지 하루 만인 19일 국감에 복귀했다.
이들은 드루킹 댓글조작 사건과 관련해 드루킹과 김경수 경남지사, 송인배 청와대 정무비서관 등 국감 증인 채택이 무산되자 과방위 국감 보이콧을 선언했었다.
이날 한국당 소속 과방위원들은 개회 시각인 오전 10시를 10분가량 넘긴 뒤 회의실에 등장했다.
의원들의 자리에 놓인 노트북에는 ‘김경수 지키려고 국회 책무 포기하나?’ ‘드루킹 일당 비호하는 민주당은 각성하라’고 적힌 종이가 다시 붙었다. 이들은 앞서 지난 10일·11일 국감에서도 드루킹 증인 채택을 요구하는 종이를 붙였었다.
한국당 과방위원들은 개회 뒤에도 드루킹 증인 채택 불발을 두고 1시간 가까이 항의 발언을 이어갔다. 발언 도중 민주당 의원들이 반박하며 열띤 공방이 벌어지기도 했다.
박대출 한국당 의원은 “드루킹 댓글 조작 사언에 대해 더불어민주당이 필요한 증인채택을 거절한 데 대해서 스스로 돌아보길 바란다”며 “그 이전 정권의 댓글 사건에 대해선 민주당 당 대표가 ‘정권 탈취’라고 규정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은 소도둑은 감싸면서 바늘도둑을 때려잡는 국가권력의 이율배반적 모습”이라고 지적했다.
김성태 의원도 “네이버가 적극 협조했다는 의혹을 받은 사건에 대해 우리 상임위에서 본말을 밝히자는 것인데, 덮자고 하는 것은 우리 책임을 방기하는 일”이라며 “증인채택을 하지 말자는 것은 상임위 본연 임무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일부 민주당 의원들은 반발했다. 박광온 민주당 의원은 “과거 국정원 댓글 사건은 공직자들이 했고, 드루킹은 민간 회비로 했다”며 “사실상 이 문제는 무리하게 김지사와 엮으려고 시도된 사건”이라고 말했다. 이어 “특검에서도 혐의를 확정하기 어려운 사건을 국회 국감장에서 가져온 것은 뻔하게 정치공세가 될 것이어서 받아들이기 힘들었다”고 반박했다.
공방이 이어지자 노웅래 과방위원장은 “증인 채택 관련해서 야당 간사들과 위원들이 지적한 부분에 대해 무게 있게 받아들이겠다”며 “수사와 재판건에 대한 사람은 증인 채택하지 않아왔던 선례를 감안했고, 그동안 수감 중인 사람에 대해서는 국감 증인으로 채택해서 출석한 전례가 없다는 점을 고려했다”고 말했다.
한국당 의원들은 또 전날 한국당 의원들의 퇴장 이후 여당 의원 일부만 MBC 업무보고에 참석한 것을 두고 25일 다시 국감을 열자고 요구했다.
박성중 한국당 의원은 “과거에도 국감을 두 번 한 사례가 있다”며 “야당이 국감을 안 왔다고 해서 여당 독자적으로 MBC에 간 건 치졸하다”고 비판했다.
신재희 기자 jsh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