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군 보병부대, 2030년까지 기동화부대로 탈바꿈

입력 2018-10-18 16:33 수정 2018-10-18 17:01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 18일 충남 계룡대 육군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들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뉴시스

육군 보병부대가 2030년까지 행군 대신 장갑차와 전술차량으로 이동하는 기동화부대로 탈바꿈할 전망이다. 육군은 18일 충남 계룡대 육군본부에서 열린 국회 국방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신속 이동 가능하고 첨단 무기와 장비를 갖춘 부대로 업그레이드하는 ‘백두산 호랑이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보고했다.

백두산 호랑이 체계는 기동성을 높이기 위해 보병부대의 가장 작은 단위인 분대까지 차륜형 장갑차와 K200 장갑차, 소형 전술차량 등을 배치하는 개념이다. 여기엔 전투 기능을 높인 개인 장비인 ‘워리어 플랫폼’ 보급과 ‘드론봇(드론·로봇) 전투체계’ 구축 계획도 포함돼 있다. 워리어 플랫폼은 전투복, 방탄복, 방탄헬멧, 조준경, 소총 등 33개 품목으로 구성돼 있다.

육군은 전투 장비를 네트워크 장치로 서로 연결해 전장(戰場)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방안도 추진할 예정이다. 지휘관이 유사시 타격 수단 결정을 비롯한 중요한 판단을 내리기에 앞서 인공지능(AI) 분석을 참고할 수 있는 시스템도 만들 계획이다.

백두산 호랑이 체계 구축에는 1조2500억원 이상 예산이 들어갈 것으로 추산됐다. 육군은 2021년까지 4개 대대 시범적용에 300억원, 2025년까지 4개 여단으로 시범부대를 확대하는 데 2000억원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했다. 군 관계자는 “지난 7월부터 개념 구상 단계를 거쳐 지난 5일 합동참모본부에 백두산 호랑이 체계 도입이 필요하다는 ‘소요 제기’를 했다”고 말했다.

육군은 ‘모듈형 부대구조’ 편성안도 보고했다. 사단 예하에 연대를 편성하지 않는 대신 2~5개 여단만 배치하는 부대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군 관계자는 “미래의 다양한 위협에 유연하게 대비하기 위해 현재 사단 중심의 전투체계를 기동성 있는 여단 중심으로 개편하겠다는 것”이라며 “2030년 이후를 목표로 추진하는 장기 과제”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국감에서 김용우 육군참모총장이 병사들의 외출·외박 지역 제한과 관련한 질의에 “(지역) 제한을 폐지하기 위해 국방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 김 총장 발언이 지역 제한 폐지를 추진한다는 취지로 해석되자 육군은 “군사대비태세 유지, 기본권 보장, 지역주민과의 관계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검토해나가겠다는 의미”라며 “이에 대한 정책적 결정은 국방부와 협의해 나가고 있다”는 입장을 전했다.

김경택 기자 pty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