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유치원총연합회의 일부 간부들이 ‘비리유치원’ 당사자들이라는 보도가 나왔다.
노컷뉴스는 17일 “지난 5일 박용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주최한 ‘유치원 비리 근절을 위한 정책 토론회’를 물리적으로 막은 전력을 가진 한유총의 간부 41명 중 일부가 비리유치원 명단에 이름을 올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전체 간부 중 약 20%가량인 4명이 회계집행 부적정 등 예산 관련 내용으로 적발된 유치원을 운영하고 있었고, 다른 4명은 강사 계약 부적정 등 운영 실책으로 적발된 유치원을 운영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박 의원은 지난 5일 오후 2시 국회에서 ‘유치원 비리근절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연 바 있다. 사립유치원 회계비리 사례를 소개하고 근절방안을 모색하는 목적에서였다.
당시 300여명이 참석한 한유총 측은 토론장을 점거하고 “사립 유치원을 비리 집단으로 매도했다. 진정 유아교육 발전을 위한 토론회였다면 사립 유치원을 대변할 사람도 초청했을 것”이라며 “일부 확정되지 않은 비위를 가지고 유아교육의 75%를 책임지는 사립유치원 전체를 매도한 박 의원 측에 유감을 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노컷뉴스에 따르면 회계 집행으로 적발된 유치원은 한유총 대구지회장이 운영하는 A유치원·경북지회장이 운영하는 B유치원·경북 이사가 운영하는 C유치원·법령입안이사가 운영하는 D유치원 등 4곳이다. 또 울산지회장이 운영하는 E유치원·충북지회장이 운영하는 F유치원·대전지회장, 제주지회장이 운영하는 유치원 등 4곳은 직원 및 특성화프로그램 강사의 성범죄 경력 조회, 차량 계약시 안전정보 서류 확인 등을 소홀히 해 적발됐다.
박 의원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이 2013년~2017년 감사를 벌인 결과 전국 1878개 사립유치원 중 1146곳에서 5951건의 비리가 적발됐고 총 금액이 269억원이었다고 밝힌 것은 지난 11일이었다. 일부 유치원에서 교비로 원장이 핸드백을 사고, 성인용품점에서 용품을 사거나 종교시설에 헌금을 냈다는 박 의원의 발표가 나오자 전국 학부모들을 중심으로 논란이 커졌다.
김종형 객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