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총재에 물어야 할 것” 병역 특례 등 제도 개선 초점 맞춰야

입력 2018-10-16 09:35 수정 2018-10-16 09:39

지난 10일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게임 수장 선동열 감독에 대한 국회 국정감사 증인 심문은 실망 그 자체였다. 본질을 짚지 못하고 호통만 난무한게 사실이었다. 선 감독에게 사실상 면죄부를 준 국감이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이번엔 정운찬 KBO 총재가 국정감사 증인석에 선다.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의 23일 대한체육회 국정감사 때다. 신분은 일반 증인이다.

또다시 호통만 난무한다면 더 큰 역풍을 맞을 게 뻔하다. 정 총재는 야구계 수장이다. 대표 선발 과정 내용을 자세히 알 수 있는 위치에 있지 않다. 그러기에 절차와 과정 등 제도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일단 당일 작성된 회의록이 없음은 어느정도 확인됐다. 이 점을 개선해 나가야 한다. 대한체육회 대표팀 선발 규정에는 회의록 작성 규정이 있지만 KBO 규정에는 명시되어 있지 않다. 이를 제도화하도록 해야 한다.

아시안게임이 병역 특례 창구로 활용돼온 관행에 대해 개선 방안을 요구해야 한다. 이번에 흐지부지된다면 ‘제2의 오지환’은 계속 나올 수 있다. 또 야구 관중 감소가 과연 아시안게임 때문만이라는 정 총재의 생각에 변함이 없는지 물어야 한다.

KBO의 신규 외국인 선수 몸값 제한 및 국내 FA 선수 몸값 제한에 대한 야구계의 반발이 거세다. 10개 구단의 선(先) 경영 개선 방안에 대해 따져야 한다. 정 총재가 먼저 말했던 샐러리캡과 사치세 도입에 대한 의지를 확인하는 자리가 되어야 한다.

결국은 너무나 관행처럼 이뤄져온 일들을 제도를 바꿔 개선해나가는 국감장이 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다면 국감 무용론은 더욱 비등해질 것이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