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구로병원 소화기내과 최윤진(사진) 교수와 분당서울대병원 소화기내과 이동호, 한경도 교수 연구팀은 2009년부터 2012년까지 2280만9722명의 국가건강검진 자료를 바탕으로 대사증후군과 대장암 발생의 상관관계를 비교 분석한 결과 이 같이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조사결과 전체 조사대상자 중 대사증후군 진단을 받은 환자는 총 629만6903명(27.6%)이었고, 이중 대장암 진단을 받은 환자는 6만3045명(1%)이었다.
반면 대사증후군이 없는 정상인 1651만2819명 중 건강검진에서 대장암이 발견된 환자는 총 8만5422명으로 전체의 0.52% 수준에 그쳤다. 대사증후군 보유여부에 따라 대장암 발생률이 배 가까지 차이를 보인 셈이다.
연구팀은 성별, 연령, 정기적인 운동 및 음주와 흡연정도 등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이는지 분석했다. 그 결과 대사증후군 보유자는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대장암 발병 위험도가 남성은 40%, 여성은 20%이상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사증후군은 5가지 위험요인(복부비만, 내당능장애,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혈증) 중 3가지 이상을 갖고 있을 때를 가리킨다.
연구결과 특히 복부비만, 당뇨병의 전 단계로 알려진 내당능장애,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 등 세 가지 요소가 대장암 발생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들 3개 중 2개를 가진 사람은 30%이상, 3개를 모두 가진 사람은 45%이상 대장암 위험도가 높아졌다.
최 교수는 “대사증후군으로 진단받지 않더라도, 복부비만, 내당능장애,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혈증 중 두 개 이상 가진 경우 대장암 발병 위험이 높으므로 더욱 주의 깊게 건강관리에 나설 필요가 있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연구결과는 역학분야 국제 학술지 유럽역학저널(European Journal of Epidemiology) 9월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