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보수통합해 文정부 폭주 막아야” “집단지도체제는 반대”

입력 2018-10-12 15:04 수정 2018-10-12 17:48

자유한국당 유력 당권주자로 거론되는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12일 “문재인정부의 폭주를 견제하기 위해서는 보수 단일대오를 형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오 전 시장은 국민일보와의 통화에서 “열흘전쯤 김용태 한국당 사무총장과 만나 보수의 미래에 대한 얘기를 나눴다”며 “입당 시기를 못 박지는 않았지만 (한국당 지도부의) 보수대통합 방향에 동의한다. 그렇게 되도록 저도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최근 한국당 내부에서 논의되고 있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로의 복귀에 대해서는 반대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국당은 최근 소속 의원, 원외 당협위원장, 6.13 지방선거 당선자와 낙선자 등 1000명을 대상으로 당 개혁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응답자의 64.1%는 현재의 지도체제를 순수 집단지도체제로 바꿔야한다고 답했다.

오 전 시장은 “당에서 지도체제와 관련해 많은 논의가 이뤄지고 있는데 집단지도체제가 과연 국민의 사랑을 받는 길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집단지도체제가 된다는 것은 이른바 각 계파를 대표하는 이들이 지도부에 입성해 당을 운영한다는 의미”라며 “이제 겨우 계파다툼이 잦아들었는데 집단지도체제로 복귀하면 선거 등을 앞둔 상황에서는 또 지도부 의사결정 상황에서 첨예한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새 지도부가 또다시 구태라는 평가를 받을 수 있어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당대표 중심의 지도체제를 유지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한국당은 2016년 이후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고 당대표에게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은 2002년 최고위원 9명이 당 운영을 맡는 순수 집단지도체제를 도입했지만 계파 간 이해관계에 따라 최고위원 회의가 파행을 거듭하면서 단일 집단체제로 변경한 바 있다.

오 전 시장은 문재인정부에 향해서도 날을 세웠다. 그는 “문재인정부가 가는 방향을 보면 경제정책부터 시작해 서민들을 힘들게 하는 역주행 정책이 많다”며 “출범할 때는 어려운 사람들을 위한 정책을 펴겠다더니 빈부격차는 점점 더 벌어지고, 일자리는 사라지고, 세계 경제는 호황인데 우리 경제만 어려워지고 있다. 갈수록 태산”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야당에서 무능한 경제정책에 대해 지적하면 고민하는 흔적이라도 보여줘야 되는데 점점 더 고집스러워지고만 있다”며 “정부에 대한 비판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라도 보수가 하나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 전 시장은 오는 20일 지지자들과 함께 대규모 산행에 나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차기 당권 도전을 앞두고 그가 본격적으로 당내 세력 규합에 나섰다는 해석이 나온다. 오 전 시장은 당권도전을 결심했느냐는 질문에 “당내외 사람들을 두루두루 만나며 대화를 나누고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고 답했다.

이형민 기자 gilels@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