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차 북·미 정상회담의 윤곽이 서서히 드러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발언을 통해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2차 북·미 정상회담은 11월 6일 (미국) 중간선거 이후 열리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중간선거 지원 유세를 위해 아이오와주로 가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그는 “나는 지금 떠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중간선거 공화당 지원유세에 집중하기 위해 2차 북·미 정상회담을 그 뒤로 미뤘다는 설명이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오전 백악관에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의 연내 사임을 발표하는 도중에 2차 북·미 정상회담을 비롯한 비핵화 협상에 대한 구상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은 3∼4곳의 다른 장소들을 놓고 북한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 “아마도 (1차 북·미 정상회담이 열렸던) 싱가포르가 아닌 다른 곳에서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북·미 정상이 북한과 미국을 오가는 ‘쌍방향(two-way street)’ 외교 가능성을 시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덧붙이자면, 나는 궁극적으로(eventually) 우리가 미국 땅에서 그리고 그들의 땅에서 많은 회담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며 “그것은 쌍방향”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2차 북·미 정상회담 장소가 북한과 미국 중 한 곳이 될지 여부에 대해서는 밝히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번 발언에 대해 북·미 비핵화 협상이 발전돼 언젠가는 양측이 자유롭게 북·미를 오가며 많은 대화를 하기를 바라는 기대를 담은 것이라는 분석이 우세하다.
그러나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지가 전격적으로 워싱턴이나 평양으로 결정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신이 소유한 플로리다주의 고급 휴양지인 파러라고에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을 데려갈 수 있느냐는 질문을 받고 “아마도 그는 그것을 좋아할 것이고, 나도 마찬가지다. 좋을 것으로 생각한다”면서도 “그러나 지켜보자”고 답변을 피해갔다.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종합해보면, 2차 북·미 정상회담은 11월 6일 미국 중간선거 이후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장소는 3∼4곳으로 압축됐다. 워싱턴이나 평양이 개최지가 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성향과 북·미 대화의 예측불가능성을 고려하면, 이 시나리오도 급변할 수 있다.
워싱턴=하윤해 특파원 justic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