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시 수술 개념도>
감각외사시는 한쪽 눈 시력이 나쁠 때 생기는 사시로서, 어릴 때 앓은 안과 질환으로 정상적 시력 발달이 되지 않거나, 망막박리, 외상 때문에 한쪽 눈이나 두 눈 시력이 나쁠 때 발생한다.
감각외사시 환자들은 시력 차이 때문에 입체시와 같은 양안시 기능이 떨어져 있을 뿐 아니라, 외형적으로 시선이 어긋나 있어 심리적 위축을 겪는다.
사시 수술은 안구를 움직이는 근육이 부착된 위치를 옮겨 근육간 힘 균형을 바로 잡고 두 눈이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한다. 감각외사시는 이와 같은 수술로 치료할 수 있지만 그 동안 다른 사시에 비해 수술 계획을 세우는 것이 까다롭고 결과 예측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서울대병원 안과 김성준(사진) 교수 연구팀이 이 같은 일반 인식을 깨는 최신 임상연구결과를 내놨다. 성인의 감각외사시는 방치하는 것보다 적극적으로 치료를 하는 것이 유리하는 것을 임상적으로 증명한 것이다.
연구팀은 2003~2015년, 감각외사시 수술 환자를 64명을 조사한 결과 62.5%가 사시의 고통으로부터 성공적으로 벗어날 수 있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9일 밝혔다. 55 프리즘디옵터 이상의 심한 사시가 아니라면 성공률이 80%를 넘기기도 했다.
이는 사시 수술로 시력을 회복할 수는 없지만 외형적 모습은 교정할 가능성이 높고, 환자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를 줄여 삶의 질 향상에도 크게 도움 될 것이란 얘기다.
전국민 1~2%의 높은 사시 유병률에도 불구하고 성인 환자는 병원 방문이 적다. 성인 사시는 치료가 안 된다는 근거없는 속설을 믿거나 잘못된 치료, 즉 민간요법, 비전문가의 눈 훈련과 운동, 한방치료 등으로 효과를 보지 못해 치료를 포기하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
김성준 교수는 “성인 사시도 아주 드문 경우를 제외하고 대부분 수술로 바로 잡을 수 있다. 혼자 고민하지 말고 하루바삐 사시 전문의를 찾을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연구 결과는 안과 부문 국제 학술지 ‘아이(Ey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