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이 소속 의원, 원외 당협위원장, 6.13 지방선거 당선자와 낙선자 등 1000명을 대상으로 정당 개혁 관련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금의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를 ‘순수 집단체제’로 바꿔야 한다는 의견이 64.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당명 변경과 당협위원장 임기제도 도입 또한 높은 지지를 받았다.
한국당 비상대책위원회 산하 정당개혁위원회는 8일 이 같은 내용의 설문조사 결과를 당 비대위 회의에서 보고했다.
한국당은 지난 2016년 이후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분리 선출하고 당 대표에게 보다 많은 권한을 부여하는 단일성 집단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한국당의 전신인 한나라당은 2002년 최고위원 9명이 당 운영을 맡는 순수 집단체제를 도입했지만 계파 간 이해관계에 따라 최고위 회의가 파행을 거듭하면서 단일 집단체제로 변경한 바 있다. 비대위 관계자는 “순수 집단체제가 당 대표에게 쏠린 권한을 분산하는 방식이라 구성원들의 선호도가 높았다”고 전했다. 한국당 비대위는 지도체제 변경을 안건으로 올려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당명 변경에 대해서는 73.1%가 찬성했다. 당명 개정 시기를 두고는 응답자의 63.1%가 ‘당 개혁과 함께 개명해야 한다’고 답했고, 10%는 ‘최대한 빠르게 개정해야 한다’고 답했다.
당 조직강화특별위원회가 곧 새 당협위원장 선임 작업에 들어갈 예정인 가운데 당협위원장 임기제를 도입하는 방안은 82.7%의 높은 지지를 얻었다. 당협위원장 임기제를 시행하게 되면 당 지도부가 바뀔 때마다 당협위원장을 교체하는 인위적 물갈이를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심우삼 기자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