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 송유관 폭발 사고지점 근처에 학교 31개… 정부 대책은 전무

입력 2018-10-08 14:41 수정 2018-10-08 14:48

지난 7일 고양시 저유소에서 폭발 화재사고가 발생한 가운데 사고반경 3km 내에 초·중·고등학교 31곳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산업단지 인근에 초·중·고등학교 백여 곳이 운영 중인 것으로 조사됐지만 관련 대책은 전무한 것으로 드러났다.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시·도교육청별 산업단지 및 공장 밀집지역 인근 학교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업단지 인근 200m 이내에 153개의 초·중·고등학교가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경기도의 경우 28개의 학교가 산업단지 인근에 위치에 전국에서 가장 많았고, 부산이 18개, 경남·충북·울산이 각 16개로 뒤를 이었다. 학교별로는 초등학교 82개, 중학교 40개, 고등학교 31개 순이었다.

산업단지 내에는 각종 유해 화학물질 취급 사업장이 많아 가스 누출과 폭발사고 등의 위험이 상존한다. 근방에 위치한 학교의 경우 별도의 안전대책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교육부 차원의 학교 안전 매뉴얼이나 방독면 비치 등 세부 규정은 없는 상황이다.

화학사고 주무 부처인 환경부도 “유해화학물질 취급 사업장관리를 할 뿐 주변 학교와 같은 시설에 대해서는 따로 대책마련은 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화학사고 피해 최소화를 위해서는 신속한 초동대응과 상황전파가 필수적이다. 그리고 기본적인 대응 장비들이 비치되어야 하지만 이러한 매뉴얼조차 교육부는 가지고 있지 않다”며“성장기의 학생들에게는 더욱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는 화학사고인데도 교육부가 떠넘기기식 행정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김현아 자유한국당 의원

심우삼 기자sa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