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고양시 벽제동에 위치한 서울시립승화원(사진) 부대시설이 문을 닫은 지 약 1년 9개월 만에 새로운 운영사업자가 선정됨에 따라 정상운영 초읽기에 들어갔다.
8일 고양시에 따르면 서울시립승화원은 지난 9월 7일 운영사업자 모집 공고를 내 이달 4일 운영사업자 선정 심사위원회에서 운영사업자를 결정했다.
특히 사업자는 계약 조건에 따라 지역발전수익지원금을 선납해야 하는데 이번에 선정된 사업자가 7억원을 제안함에 따라 5년 동안 매년 7억원의 지역발전수익지원금을 확보, 인근 주민 복지 및 지원 사업에 사용됨으로써 지역발전에도 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역주민 20여명의 일자리 창출도 예상된다.
이는 그동안 전체 수익의 일정 비율을 기금으로 납부하는 방식이 문제점으로 지적돼 이를 보완하기 위해 사전에 선금을 내고 이행보증증권까지 제출토록 한 것이다.
한편 서울시가 운영하는 서울시립승화원은 지난 2012년 5월 ‘고양시-서울시 상생발전을 위한 공동합의문’에 의거해 식당·카페·매점·자판기 등 부대시설의 운영권을 지역주민들에게 이양해 인근 지역 주민들에게 수익금을 환원하는 조건으로 운영해 왔다.
하지만 일부에서 수익금을 제대로 환원하지 않고 회계가 불투명하다는 주장이 일자 서울시는 계약기간 만료 후 재계약을 하지 않았다. 이에 해당 업체가 반발하자 서울시는 지난 2016년 12월 강제집행을 단행했다.
강제집행 이후 승화원 식당을 비롯해 매점, 카페, 자판기 등 유족들에 대한 먹거리 서비스가 2년 가까이 중단되며 이용자들의 불만이 높았다. 이에 고양시·서울시·주민대표 등을 중심으로 주민협의회를 구성, 1년 동안 모두 22차례에 걸쳐 부대시설 운영에 대한 논의를 실시해 이 같은 결과를 이끌어냈다.
승화원은 부대시설 정상 운영을 위해 식당 리모델링 공사를 완료한 상태이며 선정된 운영사업자가 보다 나은 시설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대한 협조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달 말까지 선정된 운영사업자와 협상을 통해 사용수익허가 및 계약체결을 완료할 예정이며 11월중으로 부대시설 정상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주민협의회의 한 관계자는 “지역발전수익지원금이 확보된 후 어떻게 분배할지 본격적인 논의가 진행될 것”이라며 “길고 긴 승화원 갈등이 해결된 만큼 또 다른 주민 간 갈등이 발생되지 않도록 운영사업자와 주민들의 긴밀한 노력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고양=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