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4일 열린 교육·사회·문화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불꽃 튀는 공방을 벌였다. 야당의 반대를 무릅쓴 청와대의 임명 강행으로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자리에 앉은 유은혜 장관 때문이다. 유 장관의 ‘제2의 청문회’를 방불케 한 이날 대정부질문은 급기야 집권 여당과 제1야당 원내대표 간의 몸싸움으로 번졌다.
자유한국당 의원들의 집중포화는 유 장관이 국회 본회의장에서 인사발언을 할 때부터 시작됐다. 한국당 의원들은 “사퇴하라” “무슨 말이 그렇게 많아” 등의 야유를 퍼부었다. 그러면서 유 장관의 위장전입, 병역 면제, 피감기관 사무실 임대 등 불거졌던 의혹을 거듭 열거하며 사퇴를 종용했다.
유 장관이 “송구하다”면서도 반박을 이어가자 야당 의원들은 “송구하다면 다냐” “사퇴하라”며 고성을 터뜨렸다. 특히 차기 총선 불출마 요구에 유 장관이 “제가 결정할 것이 아니다”라고 하자 “자기가 결정해야지. 부끄럽다”는 비난이 쇄도했다.
바른미래당 역시 유 장관에게 비판의 시선을 보냈다. 김삼화 미래당 의원은 “총선 출마는 본인의 결심”이라며 “거취에 대해 말을 못 하는 상황에서 어떤 일을 계획하고 추진하고 집행할 수 있느냐”며 확답을 요구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야유받는 유 장관에게 힘을 보탰다. 주광덕 한국당 의원이 이낙연 총리를 불러 유 장관의 자질과 임명 과정을 문제 삼자 민주당 의원들은 “자중하라”며 반발했다.
또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표가 의장석으로 걸어 나가 사회를 맡은 이주영 부의장에게 항의하기도 했다. 이때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도 따라 나와 “의원 대정부 질문을 방해하느냐”며 홍 원내대표와 몸싸움을 벌이기도 했다.
손혜원 민주당 의원은 “무례하게 임명된 지 하루 된 장관에게 ‘사퇴하세요’라고 소리를 지르며 방해하는 모습이 참 의아하다”며 “야당의 비판이 유 장관이 아닌 문재인 정부를 향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지연 기자 jym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