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개천절을 맞아 개천절의 뜻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민족문화대백과에 따르면 개천절은 우리 민족 최초 국가인 고조선 건국을 기념하고자 제정된 국경일이다. 단군기원 원년인 서기전 2333년 음력 10월 3일 건국된 한반도 최초의 민족국가인 단군조선을 기리는 것이다.
10월 3일을 개천절이라 명명하기 시작한 것은 1909년 1월15일 대종교(大倧敎)에서 부터다. 대종교는 나철이 1909년에 창시한 우리 민족 고유의 종교로 단군왕검을 신으로 모신다.
일제강점기에 접어들며 개천절은 민족의식을 하나로 고취하는 역할을 했다는 평가가 다수다. 상해임시정부는 개천절을 국경일로 정하여 경하식을 치뤘다.
개천절은 1949년 10월 1일에 공포된 된 ‘국경일에 관한 법률’에 따라 음력 10월 3일에서 양력 10월 3일로 날짜가 변경됐다.
한편 개천절에는 5대 국경일(삼일절,제헌절,한글날,개천절) 중 하나로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붙여 태극기를 게양한다.
박선우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