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월29일은 세계 심장의 날.’
국제봉사단체인 로타리가 가난한 가정에서 선천성 심장병을 안고 태어난 어린이들에게 무료수술로 새생명을 안겨 주고 있다.
우리나라의 선천성 심장병 어린이 수술지원 사업은 35년전 미국 로타리의 지원으로 처음 시행돼었는데 이제는 한국 로타리(대표 문은수)가 주축이돼 몽골로 옮겨져 큰성과를 거두고있다.
소아심장 수술사업은 몽고등 저개발국에서 수술이 필요한 선천성 심장질환 아동들을 부모와 함께 한국에 초청해 심장 수술을 무료로 제공하거나 현지 의료진과 함께 몽골 현지에서 의사들의 기술숙련을 돕고 소아 심장수술을 하는 어린이생명구하기 봉사이다.
소아심장병 수술은 1983년에 로널드 레이건 대통령 방한때 심장병을 앓던 이길우군(당시 4살)등 어린아이 2명을 낸시 레이건 여사가 미국대통령 전용기에 태우고 돌아가 수술을 시켜준것이 계기가 됐다. 이 수술은 당시 뉴욕의 로타리 725지구가 백악관에 요청하고 한국 로타리가 수술이 이루어졌었다.
우리나라 로타리는 2013년부터 윤상구 현 국제로타리재단이사의 주도로 몽골의 선천성 영 유아 심징질환 수술과 함께 몽골의사들의 의료역량강화를 위해 국내 로타리 전지구와 주담당지구인 경기동부 지역 로타리 3600지구의 5만불을 포함한 국제로타리재단자금등 37만6000달러를 투입해 6년간 이뤄졌다.
서울대 병원의 김웅한 교수를 중심으로한 소아심장 수술의료팀(26명)과 봉사단체인 라파엘의 협조로 매년 몽골에 있는 제 3병원-shartstin hospital에서 현지 의료진과 함께 선천성 심장병을 앓고있는 영,유아 들을 6년간 800여명을 진단해서 곧 수술을 받지않으면 죽음에 이르게될 1년 미만의 영아들을 10 명씩 6년간 55명의 수술함으로 이들에게 새 생명을 얻게했다.
또 금년 봉사가 한국 의료진들이 현지에서 심장병 아동들을 수술해 주는 마지막 봉사로 앞으로는 몽고 현지 의사들에게 수술을 맡기게 돼는데 이는 수술과함께 현지 몽골의사들의의료 역량 강화을 위한 프로그랩도 성공했기 때문이다.
올해 수술봉사를 현장에서 진행한 로타리 3600지구 정병성 총재, 김창권 전총재 등과 몽골측 호스트인 로타리TUUL club 회원들은 작년에 수술해서 완쾌된 어린이를 만나 이사업의 중요성과 한국로타리의 지원에대한 결과 분석과 앞으로의 협력방안을 협의했다.
이 자리에서 정 총재는 “로타리재단의 글로벌 그랜트로 이뤄진 국제봉사가 양국민들에게 감동을 주었다”며 6년간의 실적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업이 지속적으로 시행할 수 있게 적극 추진키로했다.
전세계적으로 선천성 심장질환이 신생아 사망의 가장 큰 요인이며 몽고의 경우, 신생아 100명중 1명꼴로 심장질환을 안고 태어나고있으나 대부분이 치료비가 없어 치료나 수술를 받지 못해 생명을 위협 받으며 정상적으로 성장을 못하고 있다
9월29일 세계심장의 날은 심혈관계질환에대한 경각심을 높이위해 2000년 세계시장연맹(WHF) 이 제정한 날. 심장의 날 주요목표는 전세계에서 심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하는 환자가 매년 백만명이상이며 전체사망의 30%에 달한다는 사실을 알리고 심혈관계 질환의 예방책,발병원인등에대한 정보를 제공하기위한 캠페인을 100여개국에서 실시한다.
한장희 기자 jh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