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26일(현지시간)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상하면서 한국과 미국 기준금리 차가 0.75% 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한국 역시 금리인상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경기침체의 여파로 한은이 실제 남은 하반기에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을지는 여전히 미지수다.
연준은 이틀간 진행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를 거쳐 기준금리를 기존 1.75~2.00%에서 2.00~2.25%로 0.25% 포인트 인상했다고 밝혔다. 올해 들어서만 3월과 6월에 이은 3번째 기준금리 인상이다. 현재 한국 기준금리(연 1.5%)와의 격차도 0.75% 포인트로 확대됐다.
연준은 미국의 빠른 경제성장과 실업률 감소 등 노동시장 상황을 감안할 때 금리인상이 필요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등 투표 자격을 가진 위원 9명 전원이 만장일치로 찬성했다. 또 FOMC 참석자들이 햔후 금리인상 전망을 밝히는 ‘점도표’에서 16명 중 12명이 올해 4차례 금리인상을 지지하면서 오는 12월 추가 금리인상을 기정사실화했다. 파월 의장은 지난 8월 열린 잭슨홀 연설에서 점진적인 기준금리 인상 기조를 이어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의 금리인상은 국내의 외국인 자금유출을 가속화해 금융시장을 불안케하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한·미 기준금리 격차가 0.25% 포인트 확대될 경우 국내 유입된 외국인 투자자금이 최대 15조원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때문에 한은 역시 10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금리인상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지만 상황은 여의치 않다. ‘고용 쇼크’를 비롯해 경기침체의 그림자가 짙어지는 가운데 한은은 다음달 수정 경제전망을 통해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2.9%보다 낮춰 잡을 것으로 시장에선 예상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당장 10월 18일 열리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를 인상하기엔 여러모로 부담이 크다.
하지만 미 연준이 연말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경우 한·미 금리 차가 1% 포인트까지 벌어지게 된다. 올해 남은 금통위는 10월 18일과 11월 30일 두 차례 뿐이다. 기준금리 결정은 금리 격차뿐 아니라 다양한 경제지표를 종합해서 결정하는 것이긴 하지만 한은으로선 고민이 깊어질 수밖에 없다.
앞서 공개된 지난 8월 금통위 의사록에 따르면 이일형 금통위원이 기준금리 인상 필요성을 강조한 데 이어 다른 2명의 위원도 ‘금융안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기준금리 인상을 통해 완화적인 통화정책 기조를 수정해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한 것으로 해석된다.
백상진 기자 shark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