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후(현지시간) 미국 뉴욕 외교협회(CFR)에서 외교협회(CFR)·코리아 소사이어티(KS)·아시아 소사이어티(AS) 공동주최로 열린 “위대한 동맹으로 평화를(Our Greater Alliance, Making Peace(부제:문재인 대통령과의 대화)” 행사에 참석해 “미국이 강력하게 보복을 할텐데, 그 보복을 북한이 어떻게 감당할 수 있겠는가”라며 “이번에야말로 북한의 진정성을 믿어달라”고 말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말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미국 뉴욕 외교협회 CFR 피터슨 홀에서 열린 연설 뒤 객석과의 대화 시간에 “김 위원장이 과연 얼마나 경제 개방·개혁을 도입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가”라는 리차드 하스 CFR 회장의 질문을 받고 김 위원장은 “많은 세계인들이 북한의 비핵화를 위한 여러 조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북한을 믿지 못하겠다’, ‘속임수다’, ‘시간끌기다’라고 말하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전했다.
문 대통령은 “김 위원장은 북한의 경제발전에 대한 의욕이 아주 강했다. 나의 주관적인 판단 뿐 아니라 김 위원장을 직접 만나본 폼페이오 장관이나 트럼프 대통령도 그의 진정성을 믿기 때문에 2차 북미 정상회담 뿐만아니라 북미 대화의 결실을 이루기 위해 지속해 나가는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이 국제통화기금(IMF) 가입의사를 표명했는지 궁금하다”는 토마스 번 코리아소사이어티(KS) 회장의 질문에 “북한 측에서도 IMF나 세계은행(WB) 등 여러 국제기구에 가입함으로써 개방적인 개혁으로 나설 뜻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답했다.
문 대통령은 북한과의 군사적 긴장 완화 노력이 있어야한다는 점을 강조하며 추후 남측이 경제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분야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우리 한국은 북한의 인프라 구축을 포함해서 북한의 경제 발전을 위해 선도적으로 힘쓸 용의가 있다”며 “그것은 단지 북한을 돕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거꾸로 한계에 직면한 한국 경제에도 새로운 활력이 되고, 새로운 성장력이 될 것이라고 믿는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러나 한국의 능력만으로 북한의 경제 발전을 돕는 것은 여러 가지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국제적으로 북한의 인프라를 지원하는 국제적 펀드 같은 것이 조성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하고, 또 세계은행(WB)이라든지 세계경제포럼이라든지 또는 아시아개발은행(IB)이라든지 여타 국제기구에서 북한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고 덧붙였다.
이신혜 인턴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