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에서 ‘노조와해’를 명목으로 작성된 문건이 발견됐다.
추혜선 정의당 의원은 25일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포스코가 새로 출범한 노동조합을 와해시키기 위해 부당노동행위를 시도한 문건을 작성했다고 주장했다.
추 의원은 “포스코가 올해 노무협력실 산하에 신설한 노사문화그룹이 노조 와해 문건을 작성했다”며 “헌법을 유린하는 범죄 행위에 대한 철저히 진상을 규명하고 책임자를 처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추 의원이 이날 공개한 문건은 크게 두 종류다. 먼저, 포스코가 현장 관리자들에게 배포하기 위해 작성한 것으로 보이는 ‘노조 대응 문건’이다. ‘화해와 대화의 시대적 분위기에 역행하는 강성노조’ 등 노조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부각한 내용이 담겨있다.
또 일반 직원들에게 배포하기 위한 문건도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노무협력실에서 ‘포스코를 사랑하는 직원’이라는 이름을 사용해 노조가입을 저지하기 위한 선전물을 배포했다고 추 의원은 주장했다.
이어 ‘우리가 만든 논리가 일반 직원들에게 전달되는지 시범 부서를 선정해 조직화해야 한다’ 같은 메모도 발견했다고 전했다.
추 의원은 “노조 출범 기자회견 일주일 만에 노조 파괴공작을 벌이는 범죄사실이 드러난 것은 포스코 최고위층의 지시나 동의에 따라 종합적인 노조 무력화가 이뤄지고 있다는 의심을 갖게 한다”며 “노조와 대화하겠다고 한 최정우 회장은 책임 있는 답변을 내놔야 한다”고 지적했다.
포스코는 MBC에 “직원들의 노조 가입에 대한 회사 방침은 전혀 없다”고 반박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자유로운 노조활동을 보장하며 특정 노조에 대해 어떤 선입견도 갖지 않고 법과 원칙에 따라 업무 처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는 50년 동안 사실상 무노조 경영을 이어왔다. 직원 수는 1만7000명 정도지만 노동조합원은 9명이었다. 이런 가운데, 17일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가 출범했다.
뉴시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