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對이란 제재 불구, EU·러·중 “이란과 교역 유지 하겠다”

입력 2018-09-25 15:26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24일(현지시간) 열린 유엔총회에 참석해 연설하고 있다. 이란 정부는 미국을 제외한 핵합의 체결국에 미국이 탈퇴해도 핵합의를 이행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라고 요구해왔다. 신화뉴시스


이란 핵합의(JCPOA·포괄적공동행동계획) 체결국들이 이란과의 교역을 유지하는 데 협력하기로 했다. 핵합의에서 탈퇴하고 대(對)이란 제재를 선언한 미국에 공식적으로 반대하고 나선 것이다.

유럽연합(EU)과 영국 중국 프랑스 독일 러시아 이란 고위관리들은 유엔본부가 있는 뉴욕에서 만나 원유를 포함한 이란과의 거래를 지속하기 위한 조직 신설에 협력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로이터통신이 24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들 국가들은 공동성명을 통해 “참여국들은 이란의 원유 등 수출품에 대한 지급결제를 용이하게 해줄 특수목적회사(SPV)를 설립하는 계획을 포함해 타당한 제안들을 기꺼이 수용했다”고 밝혔다.

SPV는 이란산 원유와 유럽산 상품을 직접 교환하는 물물교환 체계를 만들려는 구상이다. 이란은 미국이 오는 11월부터 이란산 원유에 대한 제재를 재개하겠다고 밝힌 이후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미 프랑스 최대 정유회사 토탈과 자동차 회사인 푸조 르노 다임러 등 많은 유럽 기업들이 미국 제재를 이유로 이란의 사업계획을 중단했다.

EU 대외정책을 총괄하는 페데리카 모게리니 외교·안보 고위대표 “실질적인 측면에서 EU 회원국들이 이란과 금융거래를 합법적으로 할 수 있는 법적 조직을 세울 것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로이터통신은 전문가를 외교관들과 분석가를 인용해 미국이 제재 관련법을 수정하면 직접교환식 거래를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SPV 방식으로 미국 제재를 무력화할 수 있을지에 대해 회의적이라고 전했다.

이택현 기자 alle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