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0억 VS 600억’ 미·중 관세폭탄 임박… 무역·군사·외교 등 전방위로 번지는 G2 갈등

입력 2018-09-23 13:37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2000억 달러 규모 대중(對中) 관세 부과 시한이 임박한 가운데, 미·중 관계는 더욱 악화일로로 치닫고 있다. 미국이 러시아산 무기 구입을 이유로 중국 군부를 제재하자 중국은 미·중 군사 협력을 취소하는 등 초강경 대응에 나섰다. 무역 분쟁으로 시작한 미·중 갈등이 군사와 외교 분야까지 번지고 있다.

미국 무역대표부(USTR)은 오는 24일(이하 현지시간) 2000억 달러 어치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10% 관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기존 관세 부과 대상인 500억 달러에 2000억 달러까지 추가되면 중국의 대미(對美) 수출액 절반 이상이 관세를 물게 된다.

중국 상무부 역시 같은 날 600억 달러 규모 미국산 수입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상태다. 중국이 보복 조치를 실제로 취할 경우 관세 부과 대상인 미국산 수입품은 1100억 달러 규모로 치솟는다. 지난해 중국의 대미 수입액의 70%에 해당하는 수치다.

특히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이 미국 산업을 겨냥해 보복 관세를 부과할 경우 2670억 달러 규모 중국산 수입품에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초강경 대응을 경고해둔 상태다. 이 조치가 실제로 이행될 경우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 전체에 관세를 부과하게 된다.

미국과 중국은 지금까지 무역 갈등을 벌이면서도 대화 가능성은 항상 열어두고 있었다. 하지만 트럼프 행정부가 2000억 달러 규모 관세 조치를 시행키로 확정하자 중국은 미국과의 대화를 사실상 포기한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중국은 오는 27~28일 열릴 예정이었던 스티븐 므누신 미 재무장관과 류허 중국 경제담당 부총리 간 무역협상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의 대중 압박은 무역을 넘어 군사와 외교 분야로까지 번지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중국이 수호이(Su)-35 전투기와 S-400 대공미사일 등 러시아산 무기를 구입했다는 이유로 중국 장비개발부와 리샹푸 장비개발부장을 제재했다. 중국이 미국 법률인 ‘러시아·이란·북한 통합제재법’을 위반했다는 이유에서다.

이에 격분한 중국은 테리 브랜스태드 중국 주재 미국대사를 베이징 외교부청사로 불러 항의했다. 또 오는 27일 베이징에서 개최될 예정이었던 미·중 합동참모부 대화도 연기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대중 공세는 오는 11월 열릴 예정인 중간선거를 의식한 성격도 있다. 선거전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업적으로 내세울 수 있도록 중국에 더욱 강경하게 나설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미·중 무역전쟁 격화에도 불구하고 미국 경제가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도 트럼프 행정부에 힘을 실어주고 있다.

따라서 미·중 관계 개선 시도는 중간선거 이후에나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중국 지도부 내부에는 미국 중간선거 이후에야 트럼프 행정부와 실질적인 대화가 가능할 것이라는 공감대가 형성돼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이 소식통을 인용해 보도했다. 중간선거 이후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 또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직접 만나 담판을 지을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조성은 기자 jse13080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