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유엔 총회 참석을 위해 23일부터 3박5일 일정으로 미국 뉴욕을 찾는다. 역사적인 ‘9월 평양공동선언’에 합의한 남북 정상회담을 마친 지 사흘 만이다.
유엔 총회 참석에 앞서 문 대통령은 24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갖는다. 문 대통령은 평양선언의 취지와 내용을 전달하고, 북·미 간 비핵화 협상에 관한 중재자·촉진자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 20일 남북 정상회담을 마친 후 가진 대국민 보고에서 “나는 미국이 이와 같은 북한의 의지와 입장을 역지사지 해가면서 북한과의 대화를 조기에 재개할 것을 희망합니다”며 “이번 남북 정상회담을 통해 북·미 간의 대화가 재개될 여건이 조성되었다고 생각합니다”고 밝혔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21일 김 위원장에게 멋진 편지를 받았고, 좋은 관계라고 밝히며 2차 북·미 정상회담 개최의 가능성을 한층 더 높였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도 평양 방문과 북·미 정상회담이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또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선 국제사회에 한반도 평화구축을 위한 지지를 호소할 예정이다. 평양선언의 합의사항을 설명하고, 이행 의지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남관표 국가안보실 제2차장은 지난 21일 공식 브리핑에서 “이번 방문을 통해 제3차 남북 정상회담의 결과를 상세히 알리고, 한반도 평화와 번영의 새시대를 열어 나가고자 하는 우리 정부의 비전과 정책, 노력에 대한 국제사회의 인식과 이해를 높여 지지 기반을 폭넓게 확대해 나가고자 하는 계획”이라며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북·미 대화의 돌파구 마련과 남북 및 북·미 관계의 선순환적 진전을 이루기 위한 실질적인 협력 방안들을 심도 있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취임 후 두 번째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 나서는 문 대통령의 심경은 남다를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해 9월 유엔 총회 기조연설에서 북한의 평창 동계올림픽 참가 등을 제안했다. 북한이 6차 핵실험을 단행한 직후인 최악의 상황 속에서도 일관되게 ‘한반도 운전자론’을 뚝심있게 밀어붙인 것이다. 이후 올 초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간 대화의 물꼬가 트였고, 4·27 판문점 선언, 6·12 북·미 정상회담이 성사되는 등 ‘한반도 운전자론’이 현실화 됐기 때문이다. 특히 이번 정상회담은 남북 간 사실상의 종전선언을 이뤄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홍민 통일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남북 관계 진전 등은) 외부의 힘에 의해서가 아니라 남북이 뭔가 결심을 하고 결단을 내려서 이루어 진 것”이라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11월 이후의 서울 답방은 (미국 등이 참여하는) 종전선언 가능성도 열려있다. 연말까지 그게 이루어진다면 일대 사변이다”고 분석했다.
조한범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이번 정상회담 군사분야 합의서 등으로) 사실상 남북 간 종전선언이 이뤄진 것”이라며 “(군사분야 합의서에) 남북 국방부 장관이 서명을 하고 양쪽 정상이 임석을 했다. 그건 법적 효력을 갖는 종전선언이라는 거다”고 설명했다.
이상헌 기자 kmpap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