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리원전 1호기 대체를 위해 국책사업으로 추진 중인 기장 앞바다 해상풍력단지 조성사업이 해당 지자체와 주민들의 반발로 무산위기에 놓였다.
부산 기장군은 기장해안에 추진 중인 대규모 풍력단지 조성을 결사반대한다는 내용의 보도자료를 20일 발표했다.
오규석 기장군수는 보도자료에서 “지난해 1월 기장해안 해상풍력사업이 거론될 당시 초대형 풍력발전기와 이를 지탱하는 지지구조물, 해저송전케이블, 소음과 진동 등 각종 악 영향을 우려한 군민, 군, 군의회가 하나 되어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기도 했다”며 “기장해상 풍력단지를 결사반대하며 기장바다를 지키는 장보고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부산 유일의 청정해역으로 산과 바다가 함께 어우러진 수려한 자연경관과 천혜의 관광자원을 갖추고 있는 해양도시에 원전단지를 건설해 군민에게 많은 아픔을 준 것도 모자라 원전 송전 선로이용으로 사업비 절감이라는 기업이익을 앞세워 제2의 원전단지를 건설하는 것은 기장군을 두 번 죽이는 행위”라고 비난했다.
오 군수는 “기장군은 미역·다시마양식 천혜 보고로서 기장미역·다시마특구 지정해역으로 2014년 국내 최초로 바다밑 도시계획을 수립해 한국해양재단과 해양수산부가 주최한 제10회 장보고대상에서 국무총리상을 수상한 바가 있으며, 해조류육종융합연구소를 개소하고 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본사를 유치하는 등 해조류양식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해상풍력단지 계획이 철회될 때 까지 반대운동을 전개하겠다”고 말했다.
지난해 초 산업통상자원부의 국책사업으로 선정된 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사업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부산 기장군~해운대구 청사포 일대에 540㎿급 규모로 완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청사포 앞바다 1.2㎞ 해상에 5㎿ 40기, 기장읍 죽성~장안읍 임랑까지 1.2㎞ 해상에 5㎿ 100기의 발전기를 설치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올해 말에 관련 인·허가 계획, 주민 수용 문제 등에 대한 사전조사 결과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 사업은 고리 1호기를 대체하는 클린에너지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지만, 어획량 감소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크다.
대규모 공사로 부유 물질이 바다로 흘러 들어가고, 산란장과 서식지 자체가 통째로 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대규모 풍력단지 들어설 곳은 그동안 개발 행위 없이 해양 생태계가 그대로 보전돼 온 청정 해역”이라며 “특히 미역·다시마 등이 특구인 해역인 만큼 어장에 대한 가치조사나 사후 관리 등의 대책이 반드시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부산=윤봉학 기자 bhyo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