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준 자유한국당 비상대책위원장은 19일 남북이 서명한 ‘판문점 선언 이행을 위한 군사 분야 합의서’와 관련, “핵에 대해선 아무 진전이 없는 상황에 김정은 위원장의 말 한마디로 국방을 해체하는 수순으로 가는 것은 상당히 위험하다”는 우려 섞인 입장을 표명했다.
김 위원장은 이날 오후 국회에서 열린 긴급 의원총회에서 “김정은 위원장이 육성과 문서로 비핵화를 약속한 점은 일단 변화된 부분이라고 이야기 할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미국의 상응 조치를 요구하는 부분에선 오히려 1차, 2차 선언보다 후퇴했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특히 “군사 부분에서 상당히 심각한 내용이 많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는 “핵에 대해선 아무 진전 없는데 (합의서) 곳곳에서 비행금지구역 이야기가 나온 것이 상당히 위험하다”며 “비행금지구역 선정을 통해 정찰 행위는 물론 일부 지역 내 무인 정찰 또한 할 수 없게 된 것은 추후 북한의 도발에도 징후를 전혀 감지할 수 없다는 것”이라고 사안의 심각성을 강조했다. 이어 그는 “국민 안위를 위협하고 국가 예산을 엄청나게 들인 것을 한순간에 무력화시킨 것이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말했다.
끝으로 김 위원장은 “전쟁은 아주 계획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에 의해 일어나지 않는다는 것을 강조하고 싶다”며 “전쟁의 많은 부분은 굉장히 우연히 일어난다. 북 체제에 어떤 내부적 갈등이 있는지, 어떤 군부와 다른 세력간의 일들이 오고가는지 전혀 모른다”고 지적했다. 그는 “뭐가 일어날지 모르는데 김정은 위원장의 말 한마디에 국방을 해체하는 순으로 이렇게 가도 되는지 걱정된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누리 인턴기자,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