척추질환 중 가장 대표적인 질환은 허리디스크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허리통증이 느껴진다고 무조건 허리디스크로 단정지을 순 없다. 척추관협착증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허리 통증이 나타난다고 해서 많은 환자들이 허리디스크와 척추관협착증을 착각하곤 하는데, 알고보면 증상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 허리디스크와 다르게 허리협착증세는 엉덩이, 하반신 쪽에 찌릿한 통증이 특징이며 다리의 근력 저하 및 감각 장애 증상을 동반한다.
따라서 허리디스크와 증세와 다르다고 느껴진다면 빠른 시일 내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다.
그런데 수술을 꺼려 병원 방문하길 두려워하는 사례도 적지 않다. 이는 환자들의 오해에 의해 비롯된 것이다. 많은 환자들이 척추 질환은 무조건 수술적 치료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척추 질환은 일상생활이 불가할 정도가 아니라면 수술적 치료보다는 비수술적 치료만으로도 충분히 증상 개선이 가능하다는 게 의사들의 설명이다.
특히 비수술적 치료법 중에서도 도수치료는 의료장비 없이 전문의의 손과 교정 침대만을 이용하여 척추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으로, 부담 없이 언제든지 받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마취와 같은 과정이 필요 없기 때문에 마취 부작용이나 후유증에 대해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단, 전문의나 자격증을 보유한 전문도수치료사에게 시술을 받야 허리협착증세 개선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강남초이스병원 서울대입구역 본원 김상욱 병원장은 “척추 질환으로 인해 주사, 시술 등의 비수술적 치료를 찾는 분들도 많지만, 부작용이나 후유증 부담을 느끼는 분들이 많아 요즘에는 도수치료 같은 방법을 선호한다"며 "수술에 대한 두려움때문에 병을 키우기보다 조기 치료를 통해 빨리 척추 질환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반드시 수술이 필요한 케이스도 있지만 이는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비수술적 치료법으로 개선이 가능하다"며 "척추 질환을 방치하면 근골격계에 여러가지 문제가 생길 수 있어 빠른 대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디지털기획팀 이세연 lovok@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