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메르스 대응지침을 보강하기로 했다. 쿠웨이트에서 귀국한 메르스 환자가 인천공항 검역을 통과해 현재 방역 시스템에 구멍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메르스가 지역사회로 확산되면 걷잡을 수 없는 사태가 벌어질 수도 있다. 메르스 환자가 생겼을 때 이낙연 총리가 “늑장대응보다 과잉대응이 낫다”고 말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18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메르스 대응 지침 자체가 좀 더 보강할 부분이 있지 않나 싶어서 전문가들과 함께 보강할 수 있는 내용들을 살펴보고 있다”고 말했다.
메르스 확진이 나온 A씨(61)는 지난 7일 인천공항에 입국해 훨체어를 타고 가야 할 정도로 몸 상태가 좋지 않았으나 검역을 통과해 방역 시스템이 비판을 받았었다. A씨는 공항 검역 과정에서 설사 증상이 있다고 알렸으나 발열, 기침, 호흡 곤란 등 호흡기 증상이 없어서 걸러지지 않았다.
박 장관도 “잠복기에 입국하는 분들을 발견해 낼 수가 없고 거짓말로 보고를 할 경우에는 찾아내기 힘들다. 이 분이 공항 검역 과정에서 체온을 쟀는데 정상보다 오히려 낮은 체온이 나왔고 설사에 대한 이야기만 하고 다른 이야기는 없었다”고 설명했다.
메르스 대응 지침에는 중동 지역을 방문한 사람에게 발열과 호흡기 증상(기침, 호흡 곤란 등)이 있을 때만 의심환자로 분류하고 있다. 설사는 메르스 대응 지침에 포함돼 있지 않으나 의료계 일각에서는 설사와 구토 같은 소화기 증상도 무시할 수 없다고 지적하고 있다.
2015년 정부가 펴낸 메르스 백서에는 ‘감염 초기에는 호흡기 증상이 나타나지 않은 채 설사와 복통만 호소할 수 있다’고도 적혀 있다.
박 장관은 “국제간에 이동이 많아 감염병에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보다 더 철저하게 대비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나가도록 하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박 장관은 이번 사태에 대해서는 “방역체계에 구멍이 뚫렸다고 보지는 않는다”고 했다. 검역과정이 검역대 하나만으로 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고, 중동지역에서 들어온 입국자에 대해서는 통과된 날로부터 2주 동안 4번 확인하고 있기 때문에 방역 시스템은 충분히 가동됐다는 것이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A씨가 완치했다고 발표했다. 메르스 최대 잠복기 14일이 지나는 이달 22일까지 추가 환자가 나오지 않을 경우 22일 0시를 기점으로 사실상 이번 사태는 종료된다. 하지만 메르스 종식 선언은 메르스 발생 4주 뒤에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2015년에도 4주의 시간 동안 지켜본 뒤 종식을 선언했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