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적으로 코가 없어 국내 의료기관에서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코’를 선사받았던 몽골 소년이 5년 만에 은혜의 나라 한국을 다시 찾았다. 당시 소년과 인연을 맺었던 배우 송중기씨도 소년과 재회의 기쁨을 누렸다.
17일 가톨릭의대 서울성모병원에 따르면 선천적으로 얼굴의 코와 기도가 없었던 몽골 소년 네르구이 바람사이(11)는 국내 최초 3D 프린팅 기술로 만든 인공구조물 이식 수술을 2013년 성공적으로 마쳤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MEDICAL KOREA’ 홍보대사였던 송씨가 몽골로 돌아가기 전 퇴원을 축하하는 자리를 찾아 처음 인연을 맺었었다.
수술 후 성장에 맞춰 인공코의 기능을 보완하고 식사가 어려울 정도로 심한 부정 교합을 치료하고자 다시 한국을 찾은 네르구이의 소식에, 송씨가 지난 14일 병원에 깜짝 방문한 것이다. 송씨는 5년만에 다시 만난 네르구이에게 “학교에 잘 다니고 있었는지 많이 궁금했었다”며 반갑게 인사했다.
의료진으로부터 네르구이의 건강상태를 전해 듣고 “이렇게 직접 다시 만나 반갑고 앞으로 치료를 꾸준히 잘 마쳐서 학교에서 건강하게 친구들과 잘 지내기를 바란다”며 격려했다.
네르구이는 몽골어로 ‘이름없음’이라는 뜻이다. 심한 장애로 이름조차 없어, 치료를 받기 위해 한국을 들어올 때 여권에 적혔던 이름이다. 네르구이는 코의 외부 형태 뿐 아니라 콧구멍도 없어 코로 숨을 쉴 수 없는 심한 기형을 가진 6살 소년이었다.
한국에서 이마의 피부를 늘리는 수술로 조직을 얻었고 피부가 충분히 늘어난 후 콧구멍을 만들어 구강과 연결해 호흡이 가능해졌다. 갈비뼈와 연골을 가져와 콧대와 콧방울을 만드는 등 각종 첨단 의료기술이 동원된 고난이도 수술을 받았다.
새롭게 만들어진 비강 통로를 유지하기 위해 환자 맞춤형 특수 스텐트를 삽입하고 흉터를 제거하는 수술도 받았다. 이 특수 스텐트는 포스텍 기계공학과 조동우 교수팀이 병원으로부터 제공된 CT 이미지를 받아 디자인됐으며 3D프린팅 기술로 제작한 구조물로는 국내 최초로 임상에 적용됐다.
주치의인 성형외과 이종원 교수는 “얼굴의 윗부분(상악골)이 안쪽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라 코 안이 계속 건조해 숨쉬기 불편하기 때문에, 성장 진행 속도를 확인한 후 코의 기능을 원활하게 살리는 얼굴뼈 성형 수술 시기를 논의할 것”이라며 치료 계획을 밝혔다. 이어 “아직 성장기에 있어 코의 나머지 부분을 외관상 보기 좋게 하는 미용수술은 영구치가 나오고 난 이후로 예상돼 치과와 협진으로 치아교정을 먼저 진행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민태원 기자 twm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