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명 이상인 경기도와 경남의 4개 대도시가 ‘특례시’ 실현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경기도 고양시는 수원·용인시, 경남 창원시 등 4개 지방자치단체와 함께 ‘인구 100만 이상 대도시 특례 실현 공동대응기구’ 공식 출범식을 가졌다고 13일 밝혔다.
특례시는 기초자치단체 지위는 유지하면서 광역시급 행정·재정적 권한을 가진 새로운 형태의 지방자치단체 유형이다.
이재준 고양시장은 지난 12일 창원시청에서 열린 출범식에서 “‘특례시’ 추진은 민선7기 시정의 최우선 과제인 만큼 3개 대도시와 적극 협력해 지방자치법 개정을 통한 법적 지위 확보에 모든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며 “중앙정부 및 국회를 비롯한 정치권을 지속적으로 설득하는 한편 정책토론회 개최, 입법지원 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민의 염원을 결집해 ‘특례시’를 이뤄내겠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특례시’ 추진은 광역지자체 등 상급기관의 협조가 필수적으로 권한의 분배 문제가 아니라 불합리한 행정구조의 개선이라는 대승적 차원에서 접근해 도와 시가 상생하는 방안을 모색해 나가야 할 것”이라며 “‘특례시’ 신설이야말로 문재인정부의 ‘지방분권형 국가 건설’이라는 국정운영 구상을 진정으로 실현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출범식에는 이재준 고양시장, 허성무 창원시장, 염태영 수원시장, 백군기 용인시장 등 4개 자치단체장과 지역 국회의원, 행정안전부·청와대 관계자 등이 참석해 ‘100만 대도시 특례 지정’ 선언문을 채택하고 적극적인 협력을 다짐했다.
고양시를 비롯한 4개 시는 특례시 쟁취를 공동의 과제로 선정하고 차별화된 지역 여건 및 도시 특성을 반영한 강력한 지방분권정책을 바탕으로 혁신적인 지역자치행정 모델 개발에 역량을 모으기로 했다.
고양=김연균 기자 yk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