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청 ‘산림분야 온실가스 감축 시범사업’, 탄소배출권 확보 기반 다져

입력 2018-09-12 15:08
고기연(사진)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이 12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산림분야 온실가스 감축 시범사업’의 국제공인기구(VCS) 등록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산림청 제공

산림청이 캄보디아에서 진행 중인 ‘산림분야 온실가스 감축(REDD+) 시범사업’을 국제공인기구(VCS)에 등록, 해외탄소배출권 확보에 대한 기반을 구축했다.

12일 산림청에 따르면 글로벌 설계업체와의 제휴를 통해 2014년부터 사업설계서를 작성·검증해오던 산림청은 이 과정에서 REDD+ 설계와 이행을 위한 지식·기술력을 습득했다.

이를 기반으로 이번에 성공적으로 VCS 등록을 마치면서 사업설계서의 품질을 공인 받았다.

REDD+는 농지 개간, 땔감, 불법 벌채, 산불 등의 이유로 산림이 파괴되며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기 위한 활동을 뜻한다.

이번에 품질을 인정받은 사업설계서는 사업지 내 산림·공동체·종 다양성에 대한 정보 분석뿐 아니라 산림 파괴의 원인과 해결 방법, 산림 보전을 통해 얻게 되는 예상감축량, 모니터링에 필요한 지표 등에 대한 기술적인 내용을 포함하는 종합적 기술서다.

사업설계서의 VCS 등록은 탄소배출권 확보를 위한 첫 번째 과정을 마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양국은 사업설계서를 기반으로 향후 현장 활동과 모니터링을 이행하고, 우리나라는 해외에서의 탄소배출권을 확보할 계획이다.

산림청은 오는 11월 서울에서 시범사업 자문위원회를 열고 현장 활동과 모니터링 이행을 위한 양국간 업무협약(MOU)을 체결한다.

고기연 산림청 국제산림협력관은 “REDD+ 시범사업의 경험과 기후변화협상 논의를 기반으로 사업을 이행, 국가감축목표에 기여 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산림청은 산림분야 온실가스 감축 및 배출권 확보를 위해 인도네시아·미얀마·라오스에서도 REDD+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