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모금가협회, 프레스센터에서 ‘모금의 투명성과 기부자의 알권리’ 심포지엄 개최

입력 2018-09-12 14:28 수정 2018-09-12 16:36

사단법인 한국모금가협회(이사장 허탁, 건국대학교 교수)는 12일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비영리단체, 정부기관, 기업 관계자 1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모금의 투명성과 기부자의 알 권리’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이 심포지엄은 생명보험사회공헌휘원회와 교보생명이 후원했다. 이 행사는 한국모금가협회가 주최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는 박태규 교수(연세대학교 경제학과)가 ‘모금 투명성, 어떻게 다룰 것인가’를 주제로 발표했다. 노연희 교수(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학과)는 ‘기부자의 알 권리 인식 및 실태’를 분석한 연구조사 발표를 통해 모금 투명성을 높이기 위한 비영리단체에게 필요한 노력과 기부자와 시민이 함께 노력해야 할 일들에 대한 방향을 제시했다.

한국모금가협회 허탁 이사장은 환영사에서 “기부문화 활성화를 위해서는 모금단체들의 선행적 인식과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 심포지엄이 비영리단체와 사회가 서로 신뢰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기 위한 담론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연구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영리단체에서 투명성 및 신뢰도를 향상을 위해 모금 단체들이 자신들의 활동을 시민에게 적극적으로 알리는 노력이 필요함을 인식하고는 있으나, 기부자의 알 권리를 적극적으로 채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단체들이 공개하는 내용들은 주로 법적인 의무사항과 기부금영수증 제공 정보에 그치는 것으로 확인됐다. 막상 기부자들이 단체활동을 잘 이해하고 기부를 결정할 수 있기 위해 필요한 정보들에 대해서는 단체들이 소극적으로 공개하는 것이 문제점으로 대두됐다.

노연희 교수는 “비영리 단체들이 자신들에 대해 보여주는 만큼 기부자들은 이해하고 반응하게 되는데, 이번 조사에서는 단체들의 모금활동이 단기적인 성과를 올리는데 집중되어 있고 종사자들의 인식이 당장 모금성과에 필요한 내용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경향을 보였다”며 “건전한 운영과 적극적인 기부자 소통을 위한 활동은 오히려 우선순위에서 밀려있어 아쉬웠다”고 언급했다.

황신애 한국모금가협회 상임이사는 “단체들이 기부자의 알 권리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만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와 교육 등이 부족한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황 상임이사는 또 “단체들의 내실을 기하기 위해서는 투명한 모금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메타기관 등의 역할이 중요한데 실제 우리 나라에는 모금을 위한 중간지원 조직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아 이를 위한 정부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푸르메재단 백경학 상임이사는 “비영리기관에는 사회적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투명성과 전문성, 헌신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며 “모금에서 사용까지 관련 정보와 성과를 기부자와 공유하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전문가 패널로 참가한 딜로이트 안진회계법인 한성욱 이사는 “모금의 신뢰성 회복을 위해서 비영리단체의 명확한 사명 제시와 모금을 통한 목표 및 성과 제시가 되어야 한다”며 “시민과 기부자에게 기부자의 권리에 대한 인식홍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행정안전부 민간협력과 장금용 과장은 “정부도 기부 활성화 및 투명성 제고를 위한 제도 개선을 위해 기부단체 현장 조사에 기반한 정책을 제시하고 비현실적인 기부관련 법제도 개선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국모금가협회는 이번 행사에서 거론된 대안과 전문가들의 의견을 반영해 오는 12월 비영리단체의 투명성을 위한 구체적인 실행 가이드라인을 제시할 예정이다.

정창교 기자 jcgy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