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여 만에 우리나라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 환자가 발생한 가운데 정부는 “과도한 불안감을 가질 필요 없다”고 강조했다. 통제 가능한 범위에서 관리되고 있다는 게 보건당국의 판단이다. 밀접 접촉자 22명은 물론이고 일상 접촉자 440명에 대해서도 공무원을 1대1로 투입해 증상을 매일 직접 확인하는 등 능동적인 대응을 하기로 했다.
박능후 보건복지부 장관은 9일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메르스 환자 관련 국무총리 주재 긴급 관계장관회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정부는 이미 메르스 확진자의 입국부터 격리까지 전 과정 동선을 확인했다. 모든 경로를 CCTV로 확인했다”며 “이 과정에서 밀접접촉자가 늘어날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밝혔다.
메르스 확진 판정을 받은 A씨(61)는 현재 국가지정 격리병상이 있는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받고 있다. A씨의 아내 등 A씨와 2m 이내에서 접촉한 22명은 ‘밀접 접촉자’로 분류돼 자택 격리 중이다. 밀접 접촉자들에 대해서는 메르스 최대 잠복기간인 14일 동안 관할 보건소 담당 공무원이 매일 증상을 확인하는 등 능동 대응을 하기로 했다.
박 장관은 밀접 접촉자가 늘어날 가능성이 거의 없다면서도 “1명 정도 추가될 가능성”을 언급했다. 박 장관은 “그 분은 (환자와 접촉한) 검역관과 대화를 나눈 분”이라고 설명했다.
A씨와 같은 항공기를 탄 승객 등 일상 접촉자 440명에 대해서도 ‘능동감시체제’로 전환하기로 했다. 메르스 확진자와 가까이 접촉하지 않았기 때문에 전염 가능성은 낮지만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10일부터 1대1 공무원을 투입해 매일 증상을 확인하는 능동감시체제를 가동하기로 했다.
박 장관은 “(일상 접촉자들에 대해) 자택 격리까지는 하지 않지만 1대1로 담당공무원을 지정해 상태를 확인하는 능동감시체제로 바꿨다. 내일 지방자치단체에서 담당공무원을 지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 장관은 “의료진이 충실히 환자를 관리하고 있고 국민도 잘 협조해 통제 가능한 범위에서 관리되고 있다”며 “현 단계에서 적극 대응하되 과도하게 불안해할 필요는 없다”고 강조했다.
보건당국은 A씨가 머물렀던 쿠웨이트 현지에서 환자와 접촉한 교민 상황 점검하고 접촉한 교민에 대해 즉시 안전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지자체와 의약단체 간 협의체를 구성해 예방 수칙 안내 등 메르스 공동대응에 나서기로 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