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50%붕괴 의미” 부정 이유 75%, 경제 실패

입력 2018-09-08 15:22

한국갤럽이 지난 4~6일 전국 성인 1000명에게 문재인 대통령이 대통령으로서의 직무를 잘 수행하고 있다고 보는지를 물은 결과, 49%가 긍정 평가했고 42%는 부정 평가했으며 9%는 의견을 유보했다(어느 쪽도 아님 5%, 모름/응답거절 4%).

대통령 직무 긍정률은 지난주 대비 4%포인트 하락, 부정률은 4%포인트 상승했다. 직무 긍정률 49%는 문 대통령 취임 후 최저치, 부정률 42%는 최고치다. 연령별 긍/부정률은 20대 61%/29%, 30대 62%/34%, 40대 54%/40%, 50대 38%/53%, 60대+ 39%/49%다. 지난주와 비교하면 20대부터 50대까지, 서울 이외 전 지역에서 긍정률이 4~8%포인트 하락했다.

대통령 직무 수행 긍정 평가자에게 그 이유를 물은 결과(493명, 자유응답) '북한과의 관계 개선'(16%), '대북/안보 정책'(11%), '최선을 다함/열심히 한다'(10%), '서민 위한 노력/복지 확대'(9%), '외교 잘함'(7%), '소통 잘함/국민 공감 노력'(6%), '개혁/적폐 청산/개혁 의지'(5%), '경제 정책'(4%), '전 정권보다 낫다', '전반적으로 잘한다'(이상 3%) 순으로 나타났다.

직무 수행 부정 평가자는 부정 평가 이유로(423명, 자유응답)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41%), '대북 관계/친북 성향'(8%), '최저임금 인상'(7%), '부동산 정책, '일자리 문제/고용 부족'(이상 6%), '과도한 복지'(4%), '세금 인상', '독단적/일방적/편파적', '과거사 들춤/보복 정치'(이상 3%) 등을 지적했다.

부정 평가의 이유 가운데 경제 정책과 관련 있는 이유는 무려 75%나 됐다. 특히 부동산 정책은 3%포인트나 증가했다. 대북 정책 8%, 모름 5%, 과거사 보복 정치 3%, 전반적으로 부족하다 3% 등을 빼면 사실상 거의 대부분이 경제 정책과 관련했다고 해도 무방하다. 경제 정책 전환을 요구하고 있는 것이다.

문 대통령 취임 1년 4개월 만에 처음으로 직무 긍·부정률 격차가 10%포인트 이내로 줄었다. 지방선거 이후 대통령 직무 부정 평가 이유에서 '경제/민생 문제 해결 부족' 비중이 줄곧 40% 안팎을 차지하는 가운데 최저임금, 일자리, 소득주도성장 논란, 부동산 시장 불안정 등이 심화되며 나타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지난주(데일리 제321호, 2018년 8월 5주) 주요 분야별 정책 평가에서도 현 정부가 경제·고용노동 정책을 '잘못하고 있다'는 의견이 50%를 웃돌았으며, 매월 초 조사하는 향후 1년 경기·살림살이 등 경제 전망에서는 4개월 연속 비관론이 낙관론을 앞섰다.

참고로 박근혜 전 대통령은 취임 10개월 즈음이던 2013년 12월 3주(데일리 제97호) 조사에서 직무 긍정률 48%, 부정률 41%를 기록하며 긍·부정률 격차가 10%포인트 이내로 줄었다. 직무 부정률이 40%를 넘은 것도 그때가 처음이었다. 당시 연령별 긍/부정률은 20대 29%/60%, 30대 30%/59%, 40대 40%/48%, 50대 61%/29%, 60대+ 79%/12%였고 주요 사건으로는 공기업 민영화 논란, 철도 노조 파업, '안녕들 하십니까' 대자보 확산 등이 있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 4~6일 휴대전화 RDD 표본 프레임에서 무작위 추출(집전화 RDD 15% 포함)로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전국 만 19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했다. 표본오차는 ±3.1%포인트(95% 신뢰수준), 응답률은 15%(총 통화 6,750명 중 1,000명 응답 완료)였다.

김영석 기자 yskim@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