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최후 항전지로 지금은 아시아 최대 문화복합시설 ‘국립문화전당’에 대부분 자리를 내준 옛 전남도청 건물의 복원 밑그림이 공개됐다.
옛 전남도청 복원협의회는 7일 옛 도청 2층 별관 2층에서 ‘복원 연구계획 대국민 설명회’를 열고 오는 2021까지 추진할 복원 로드맵을 발표했다.
설명회에는 문화체육관광부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광주시, 옛 도청 복원 범시도민대책위, 조선대학교 민주화운동연구원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복원 연구용역을 맡은 김재형 조선대 민주화운동연구원장이 먼저 복원사업의 배경과 기본 계획을 설명했다.
협의회와 연구원은 옛 도청 본관·별관·회의실과 청사 뒤편에 위치해 있던 전남경찰청 본관·민원실·상무관 등 6개 건물의 내·외부와 연결 통로를 1980년 5월 항쟁 당시 모습으로 복원할 방침이다.
본래 모습을 잃어버린 건물 복원을 위해 6개 건물의 설계도면을 다시 그려 3차원으로 재구성하는 등 6개월간의 연구 용역을 거쳐 ‘마스터 플랜’을 마련하기로 했다.
연구원은 복원시점을 1980년 5월 18일부터 27일까지 진행된 5·18민주화운동 기간으로 잡았다. 이를 위해 옛 도청 해당 건물의 준공·증개축 등 설계 현황을 분석하고 5·18 주요사건과 건물 내·외부 변화추이를 시대순으로 조사·분석할 계획이다.
옛 도청에서 근무했던 공무원, 시민군, 수습위원, 경찰관, 계엄군 등에게 당시 건물의 상황과 동선 등도 구체적으로 확인할 방침이다.
민주주의 수호의 씨앗이 된 옛 도청건물의 역사적 의미를 조명하는 차원에서 증언을 포함한 광범위한 자료 수집과 구술채록도 진행한다.
연구원은 이와 함께 서대문형무소와 남영동대공분실, 아우슈비츠 수용소 등 국·내외 건물 복원 사례도 적극 참고하기로 했다.
연구원 관계자는 “원형 복원이 기술적으로 가능한지와 복원된 건물의 활용 방안도 중요한 과제”라며 “5·18과 건축 기술, 역사, 문화재 고증·복원, 법률 등 각 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도 운영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진식 문화전당장 직무대리는 “38년 전 옛 도청의 사진과 영상, 기록 등을 보관 중이거나 당시 상황을 제보할 시민은 연락해 달라”고 당부했다.
2015년 개관한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의 5개 원 중 옛 전남도청을 리모델링해 만든 민주평화교류원(5·18민주평화기념관)의 원형 훼손 문제를 둘러싸고 5월 단체는 당시 정부와 첨예한 갈등을 겪어왔다.
5월 단체는 ‘5·18의 상징’을 무너뜨릴 수 없다며 원형 보존을 주장했지만 옛 도청 건물 일부만 남았을 뿐 대부분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와 관련, 이낙연 국무총리는 8일 광주를 방문해 “오월어머니와 광주시민의 뜻을 받들어 옛 전남도청 복원 작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총리는 이날 광주 동구 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을 촉구하는 농성장에서 오월 어머니들을 만나 “5월 광주에 항상 빚을 지고 살았다. 복원의 밑그림과 방향이 제시된 만큼 이참에 빚을 조금이라도 갚겠다. 빨리 실천하는 일만 남아 있다”고 말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 공사가 5·18 단체 등의 민주평화교류원(옛 전남도청) 점거 농성으로 지연된 이후 문화전당 측이 구상권 청구를 검토하는 것과 관련해서는 “균형있게 고려하고 충분한 검토 과정을 거치겠다. 현명한 판단을 하겠다”고 언급했다.
전남지사 출신인 이 총리는 이날 옛 전남도청 복원 추진사업에 대한 현황을 살피기 위해 광주를 찾았다. 오후에는 전남 목포와 진도를 들러 국내 유일의 수묵비엔날레 전시공간을 둘러봤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