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학교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박인원(사진) 정재우 교수 연구팀은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입원, 치료를 받은 폐색전증 환자 5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4일 밝혔다.
조사결과 비정상적으로 폐색전증이 증가한 2008년도를 제외하고 계산한 10만 명당 폐색전증 발생빈도는 2006년 약 106명에서 2015년 약 320명까지 3배 이상 높아진 것으로 분석됐다.
성별로는 남성의 경우 인구 약 79명에서 약 267명으로 3.4배, 여성도 135명에서 533명으로 3.9배 증가했다.
특히, 폐색전증 환자 중 암 환자 비율이 2006년 16.7%에서 2015년 42.2%로 대폭 늘어나 눈길을 끌었다. 골절 및 주요 수술의 비율은 크게 차이가 없었다. 이는 암 환자 증가가 폐색전증 발생률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는 뜻이다.
조사대상 폐색전증 환자 중 7.8%가 사망했는데, 사망원인도 암이 35%로 가장 많았다. 이어 폐렴 28% 폐색전증 15% 심근경색 4% 심부전 4% 혈액응고장애 4% 간부전 2% 감염 2% 흡인 2% 등의 순서를 보였다.
연구 책임자 박인원 교수는 “국내에서 폐색전증의 발병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가운데, 폐색전증 발병 증가의 주된 요인이 암 환자의 증가와 상당한 관계가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이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대한내과학회가 발행하는 SCI급 국제 학술지 ‘더 코리안 저널 오브 이터널 메디신(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최근호에 게재됐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