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의 대북 특사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대북 특별사절단에는 서훈 국가정보원장이 포함됐다. 이번 대북특사단은 북한을 방문해 남북 3차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일정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김의겸 대변인은 2일 브리핑에서 “정 실장이 대북 특사를 맡게 됐다. 1차 대북특사대표였던 서 원장과 김상균 국정원 2차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윤건영 청와대 국정상황실장이 함께 평양을 방문한다”고 발표했다. 지난 3월 1차 대북특사단 명단과 동일하다.
김 대변인은 “특사단을 3월과 동일하게 구성한 것은 방북 목적을 효과적으로 달성하고 대북 협의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것을 주요하게 고려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대북특사단은 북한을 방문해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일정을 잡고 4·27 판문점 선언과 관련해 구체적인 협의를 할 것으로 보인다.
김 대변인은 “이번에 가는 주요한 목적이 남북정상회담의 구체적 일정을 잡는 것이기 때문에, 당연히 날짜가 확정될 거라고 생각하고 의제 문제도 같이 포함될 거라고 생각한다”며 “이번 특사대표단의 방북 문제에 대해 미국과 사전에 긴밀하게 협의해왔고 정보를 공유해왔다”고 밝혔다.
이번 대북특사단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면담하게 될지 여부는 정해지지 않았다. 청와대는 특사단의 주요 안건에 대해 남북관계를 발전시키는 것, 4·27 정상회담 판문점 선언에 담긴 방안을 포괄적으로 이행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제재에 위반되지 않는 한 남북관계 발전을 위해 판문점 선언 내용들을 폭넓게 협의할 것으로 생각된다”며 “종전선언과 비핵화, 한반도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정착이라는 문제도 협의내용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무산된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과 이번 대북특사단의 방문이 연계된 것인지에 대해서는 “별개의 문제”라며 연계돼서 같이 논의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대북 특사단은 5일 오전 특별기편으로 서해직항로를 이용해 북한을 방문해 당일 일정을 소화하고 돌아올 예정이다. 지난 3월 5~6일 1박2일 일정을 소화했던 1차 방북과 달리 이번에는 하루 일정으로 계획됐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1차 방북 때와 달리 이번은 서로 신뢰가 쌓여있고, 내용을 잘 알고 있기 때문에 실무적으로도 당일 방북만으로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현재 판단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상황에 따라 일정이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대북특사단이 북한을 다녀온 뒤의 외교일정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김 대변인은 “1차 방북 때 특사단이 돌아온 뒤 주변국들에게 설명을 했는데, 그런 설명이 있을 지는 다녀온 뒤 결정을 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문수정 기자 thursda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