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음달 5일 평양에 대북특사를 파견하기로 했다.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의 방북이 취소되는 등 길어지고 있는 북·미 간 교착상태를 해소하고, 다음 달로 예정된 남북 정상회담 일정을 조율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31일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은 오는 9월 5일 특별사절단을 평양에 보내기로 했다”고 밝혔다. 남측은 이날 오전 10시30분쯤 북측에 전통문을 보내 문 대통령의 특사를 파견하겠다고 제안했고, 북측은 오후에 특사를 받겠다는 내용의 회신을 보냈다. 김 대변인은 “대북 특사는 남북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개최 일정과 남북 관계 발전, 한반도 비핵화 및 평화 정착 등을 폭넓게 협의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김 대변인은 “남과 북 모두 여러 경로를 통해서 (특사) 문제에 대해서 협의를 해왔고, 이 시점에서는 특사 파견이 필요하다고 판단을 내린 것”이라고 말했다. 남북이 실무회담 대신 특사를 통해 소통하는 것에 대해서는 “중요한 시점에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만큼 조금 더 남북이 긴밀하게, 농도있는 회담을 위해서 특사가 평양에 가기로 한 것”이라고 답했다. 정부는 미국과도 특사 관련 협의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남북은 양측 정상이 9월 안에 평양에서 회담을 열기로 합의한 만큼 이를 지키기 위해 9월 5일로 날짜를 정했다고 한다.
김 대변인은 특사가 북한 정권수립 기념일인 9월 9일까지 북한에 머물 가능성에 대해서는 “9월5일에 가는데 9일까지 있기에는 좀 멀지 않느냐”고만 언급했다. 또 특사단이 누구를 만날 지 기대하는 바에 대해서도 “내심 생각하는 바는 있지만 그 부분에 대해서도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며 “추후에 결정되는대로 누가 갈지, 누구를 만날지, 또 며칠이나 머물지, 교통편은 어떻게 이용할지 등을 발표하겠다”고 설명했다. 특사에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서훈 국가정보원장, 천해성 통일부 차관, 남관표 청와대 국가안보실 2차장 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김 대변인은 남북간 정상회담과 관련해서 협상이 원활하지 않았던 것 아니냐는 해석에 대해서는 “(협상이) 원활하지 않으면 특사 자체가 못 갔을 것”이라며 “지극히 정상적인 협의과정”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남북 사이에는 다양한 경로로 상시적으로 대화 채널이 있다. 폼페이오 장관의 방북 연기 이후에도 계속적으로 이야기를 해왔고 그 대화의 결과가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특사 파견”이라고 덧붙였다. 앞서 문 대통령은 지난 3월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을 수석으로 하는 대북 특별사절단을 북한에 파견한 바 있다. 당시 특사단은 4·27 남북 정상회담을 성사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된다.
박세환 기자 foryou@kmib.co.kr